지방은 지방대로 6·13선거를 앞두고 이당, 저당으로 세 따라 실리 찾아 옮겨다니는 지방 정치인들이 점점 많다. 이런 가운데 중앙정치는 중앙대로 또 무성한 신당 창당설, 정계 개편설로 뒤숭숭하다. 민주당이 대선후보 경선을 지역별로 벌이고 있고, 한나라당은 5월 전당대회를 예정대로 치른다지만 정치권의 지각변동이 심상치 않을 조짐이다.
박근혜 의원이 한나라당을 탈당하기가 바쁘게 이수성 전 총리와 합의한 신당창당 움직임과 별도로 민주·한나라당내 개혁성향 이탈세력 중심의 개혁 신당론도 대두되고 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을 비롯한 민주계의 향배와 자민련의 동태 역시 주목된다. 결국 사분오열의 지역판도 심화를 예고하는 이런 지각변동은 결코 바람직스런 것은 아니나 크든 작든 대선구도의 변화를 의미하는 점에서 묵과할 수도 없는 게 현실이다.
제3신당 창당을 기폭으로 하는 정계 개편은 지방선거 이전이냐, 이후냐는 것이 관심사다. 그렇지 않아도 정치권의 변화를 예감못할 상황은 아니다. 여야간에 지방선거의 승패를 놓고 인책론이 나올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이런 판에 신당 창당은 정치권에 군웅할거를 예고한다.
이는 한국정치의 퇴보다. 보수·진보의 양대 정당체제가 바람직하나, 국내의 진보세력은 득표력이 취약한데다 그들끼리도 갈라져 정치권에 정착지 못하고 있다. 이렇다면 보수 세력으로라도 양대 정당체제로 가야 할 것이지만 그러지 못하는 연유가 뿌리를 지닌 정당이 없는 탓이다. 여당인 민주당은 물론이고 야당인 한나라당도 생성에 국민 공감대의 법통을 지닌 정당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정당사 50년에 비추어 지극히 불행한 현실이지만 이것이 한국 정치의 현주소다. 이런 처지에 또 이합집산의 전철을 되풀이 하려고 한다. 민주·한나라당의 책임이 크다. 정치권의 지각 변동을 극소화하기 위해서는 두 당이 먼저 정신을 차려야 한다.
민주당은 대선후보 경선에 이전투구의 양상보단 축제마당으로 분위기를 돌려야 한다. 그러지 못하고 탈락자의 이탈이 감지되는 경선이 돼서는 정치권의 이합집산에 휩쓸릴 수 밖에 없다. 한나라당도 당운영에 탄력성을 살릴 필요가 있다. 예컨대 5월 전당대회 때 집단지도체제의 전환 요구를 거부로 일관하는 것은 아집으로 비치기 십상이다. 나가고자 하는 사람은 나가라는 식의 당운영은 하책중에서도 하책인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