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관의 자위대책 시급하다

무기를 든 은행강도들이 전국 동서남북에서 날뛰고 있으니 ‘도대체 이 나라가 왜 이런가’하는 개탄을 금할 수 없다. 지난해 말 대구에서 엽총 은행강도 사건이 발생하더니 이달 들어 8일 충남 서산, 9일 서울 중랑구, 12일 전북 군산, 15일 안산, 대전에서 은행강도 사건이 일어났다. 은행 침입, 현금 운송차량 탈취, 현금지급기 털기 등 다양한 형태로 계속되는 강도사건으로 금융기관의 불안은 물론 시민들도 은행출입을 꺼리는 지경이 됐다. 특히 15일 안산에서 발생한 국민은행 상록수지점 사건은 범죄수법이 흉포해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다. 현금지급기를 열고 수표를 인출하던 여행원의 머리를 둔기로 때려 기절시킨 뒤 수표를 강탈했다니 얼마나 무서운 노릇인가. 이런 상태로 나가다간 기관총과 폭탄을 소지한 강도도 출현할 것 같아 심히 걱정스럽다.

이렇게 은행강도들이 기승을 부리는 이유는 첫째 총기관리상 문제점이 있는 탓이지만 금융기관들의 자체 방위체계가 너무 허술한 것도 그 원인이라고 본다.

경기도의 경우, 1천323개에 달하는 농협·수협·새마을금고 등 제2금융권이 자체 경비원을 고용하지 않고 감시카메라 관리·운영도 미비한 곳이 무려 80%를 차지하고 있는 실상이 말해주듯 국내 금융기관들이 대부분 현금수송 등을 경비·호송 전문업체에 맡기기는커녕 자체 방범 관련 규정조차 없기 때문이다. 방범 규정이 있다고 하여도 ‘안전대책을 마련한다’등 추상적인 내용인데다 경비원 배치 등 관련 규정이 없다.

현금 호송은 더욱 큰 문제다. 창구업무를 겸하는 일반직원 한두명이 보호장비도 없이 승용차로 수억원을 옮기는 일이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

외국의 경우, 은행경비와 현금 호송은 전문업체가 맡는다. 필요시 무장을 하며 경찰서와의 비상연락망도 완비돼 있다. 점포는 물론 주차장에도 폐쇄회로 TV 설치는 필수다. 그러나 우리 나라 금융기관들의 자체 방범대책은 너무 미약하고 허술하다. 더구나 일부 은행은 현금을 탈취당해도 보험회사에서 보상받는다는 이유로 자구노력을 게을리하는 곳도 있다니 실로 위험하기 짝이 없다.

차제에 금융기관들은 외국 금융기관들의 자위대책 도입을 적극 검토했으면 한다. 경찰의 범죄예방 및 엄격한 총기관리도 아울러 촉구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