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토가 각종 공해에 계속 오염돼 걱정거리가 된 지는 이미 오래다. 그런 가운데 특히 인천지역의 중금속 오염도가 전국 광역단체 가운데 부산에 이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 더욱 큰 우려를 낳고 있다. 환경부가 지난해 토양측정망 운영지점인 전국 4천500곳의 토양오염 실태를 조사해 평균치를 낸 결과 인천의 중금속 오염도가 다른
광역단체에 비해 최고 10배정도 심각한 것으로 밝혀진 것이다.
대표적인 중금속인 구리의 오염도는 부산의 14.7(단위 mg/kg)과 인천의 13.4에 이어 서울(10.5) 경기(7.3)순이었고, 납 오염도도 부산(16.9) 서울(15.1)에 이어 인천은 12.5를 나타냈다. 카드뮴도 부산과 인천이 0.43과 0.37로 가장 높았다.
이들 중금속들은 모두 인체에 해롭고 경우에 따라서는 치명적인 것이 될 수도 있는 것들로서 주로 공단이나 산업폐기물처리장 부근에서 타 측정망 평균치보다 4∼7배 이상 더 많이 검출됐다. 이는 그간 우리의 공해방지 노력과 폐기물처리 방법에 큰 허점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런데다 인천이 중국에서 불어오는 황사의 영향을 제일 많이 받을 뿐 아니라 항만등에 쌓인 철광석 등이 오염을 심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토양오염은 공기나 하천오염과는 달리 이를 원상으로 되돌려 놓기 위해서는 천문학적인 예산으로도 거의 불가능하다는 데 문제가 있다. 특히 우리의 소중한 국토를 이루고 있는 토양은 모든 삶의 근원으로써 상수원에는 물론 농작물까지 오염을 전파할 수 있기 때문에 피해가 광범위한 것이다.
그동안 화학비료의 과다사용과 각종 농약의 무절제한 사용으로 농지가 병들고 있다는 지적은 여러번 나왔으나 아직도 이를 근본적으로 시정할 수 있는 방안은 실천에 옮겨지지 않고 있다. 환경부는 토양오염을 조사하는 데 그치지 말고 이를 방지하고 원상복구시킬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여 하루 빨리 실행에 옮겨야 할 것이다.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각종 오염현상은 모든 오염원이 연결고리처럼 얽혀 있어서 어느 한 부분만의 대책으로는 근본적인 치유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환경부는 나날이 악화되는 상황을 개선시키기 위한 각종 오염유발 원인을 체계적으로 억제하는 방안을 속히 마련해야 한다. 특히 중금속은 인체에는 물론 토양에서도 대부분 계속 축적되기 때문에 때를 놓치면 회복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환경당국의 신속한 대책을 촉구해 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