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리수사 성역있을 수 없다

대통령 아들들을 비롯한 대통령의 측근들과 청와대 직원들이 연일 비리 의혹으로 신문을 장식하고 있다. 대통령의 첫째 아들인 김홍일(金弘一) 국회의원은 이용호 게이트 연루 의혹이 제기된 이후 신병 치료차 미국에 있으며, 아태재단의 실질적인 관리자인 대통령 차남인 김홍업씨(金弘業)는 친구의 차명계좌를 통하여 돈 거래를 하였으며, 3남인

김홍걸씨(金弘傑)는 유학생 신분임에도 호화주택을 구입하였는가하면 심지어 은행융자 과정에서 미국시민이라고 사칭하여 대통령의 아들들이 비리 의혹의 핵심으로 등장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다. 대통령을 가장 지근거리에서 수행하는 비서는 대통령의 일정을 사전에 외부인사에게 알려줌으로써 용돈을 받아 챙겼는가하면, 최규선씨 사건에 연루된 최성규 전 경찰청 특수과장의 해외도피에 청와대 관련설도 유포되고 있다. 이외에도 이용호 게이트, 진승현 게이트 등과 관련되어 의혹이 제기된 청와대나 대통령 측근인사들의 비리를 나열하면 헤아리기도 힘들 정도이다.

이 정도가 되면 청와대가 비리의 온상이냐 하는 국민의 비판도 결코 과장된 것이 아니다. 청와대란 권부가 이렇게 비리의혹의 대상이 된 적은 일찍이 없었던 것 같다. 과거에도 이런 의혹은 있었으나, 밝혀지지 않은 것 뿐이며, 오히려 사회가 투명하여 짐으로써 이런 의혹이 파헤쳐지고 있다고 자위하기에는 너무도 의혹이 많다. 지금 국민들이 청와대를 보는 시선은 존경이나 권위의 상징이기보다는 조소(嘲笑)의 대상이 되고 있다.

청와대를 중심한 비리는 한점의 의혹도 없이 밝혀져야 한다. 검찰은 과거에 비하여 이번 비리 의혹 수사에 있어 상당한 열의를 가지고 있는 것 같아 다행이다. 특검제가 도입되어 과거와 같이 검찰이 망신당하기 전에 철저한 수사를 통해 전모를 밝히고 관련자들은 구속하여야 한다. 대통령의 아들도 예외가 될 수 없다.

대통령의 아들들을 비롯한 청와대 관련 인사들의 비리의혹에 대하여 청와대도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한다. 대통령도 침묵만이 능사로 생각해서는 안된다. 검찰의 수사를 협조하는 차원에서도 해외에 있는 아들도 귀국시켜 성역 없는 수사가 되도록 해야 한다. 지금이야말로 대통령이 비리척결 차원에서라도 성역 없는 수사에 걸림돌을 제거해 주는 용단을 내려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