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심성 축제, 왜 그리 많은가

6·13 지방선거를 40여일 앞두고 전국 지방자치단체들마다 각종 이벤트성 행사나 축제 등을 앞다퉈 열고 있다. 지금이 밝은 사회라면 축제가 자주 열려도 좋지만 그러나 이들 행사가 거의 현역 시장·군수·구청장 및 시·군·구의원의 치적 홍보의 장(場)으로 이용된다는 지적을 받고 있어 문제가 된다. 사실상 편법적인 사전 선거운동이라는 여론도 높다.

행정자치부와 각 자치단체에 따르면 전국 각 시·군 및 구청에서 치르는 축제는 총 600여개에 이른다고 한다. 자치단체의 예산을 지원받아 열리는 각종 축제성 행사까지 합치면 800여건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들 행사가 1건당 5천만원 내외의 예산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면 연간 400여억원의 혈세가 소모되는 셈이다. 결코 적은 금액이 아니다. 특히 올해 들어서는 일부 자치단체들이 기존의 축제들을 예년보다 큰 규모로 치르는가 하면, 예년에 없던 걷기대회, 달리기대회 등 이벤트성 행사들을 6월 선거이전에 잇따라 열어 표심잡기 선심공세라는 의혹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한 예를 들어 남양주시의 경우 최근 열린 ‘시장기쟁탈 생활체육대회’는 생활체조, 검도, 골프, 육상 등 12개 종목을 올들어 추가, 25개 종목이 치러졌다. 또 시장기 유소년 축구대회, 합창대회 등도 신설됐다.더구나 청소년 종합예술제 예선 및 본선대회가 5월과 10월 열리는데도 남양주시는 5월 21일과 22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소년 힙합댄스와 그룹사운드 공연을, 25일과 26일에는 세계야외공연 축제 청소년공연 한마당을 금남리 북한강변에서 개최할 예정이라고 한다.

체육행사도 국민건강 증진이라는 차원에서 물론 권장할만 하다. 그러나 일부 시·군이 개최능력도 없으면서 도비·국비를 지원받아 특색없는 축제나 체육행사를 개최한다면 진정한 축제라고 볼 수는 없다. 특히 겉으로 ‘화합 한마당’을 내세우며 속셈은 현역 지자체장이나 지방의원들의 ‘치적 과시’라면 비난받아 마땅하다. 선거를 앞두고 열리는 축제나 이벤트성 행사는 양식있는 유권자들로부터 오히려 외면을 당하는 역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지역전통과 주민정서가 연계되지 않아 실효성이 낮은 축제는 스스로 자제하는 것이 주민복지를 위해서 도움이 될 것이다. 선거관리위원회의 적법여부 판단과 감시활동을 주시하고자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