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생산현장의 인력난이 심각하다. 도시에 실직자가 쏟아져 나오고 아직도 많은 노숙자들이 길거리에서 헤매고 있는 터에 농촌과 이른바 3D업종에서는 일손을 구하지 못해 애를 태우는 기현상이 계속 벌어지고 있다. 농번기에 사람 구하기 어려운 것은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그러나 IMF사태 이후 일자리를 잃은 수많은 실업자들이 아직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방황하고 해마다 청년 실업사태가 이어지고 있는데도 중소기업 생산현장에서 같은 상황이 반복되고 있는 것은 인력구조에 큰 잘못이 있음을 뜻한다.
중소기업협동조합이 올 1·4분기 중소기업의 경영상 애로사항을 분석한 결과 가장 고통을 받고 있는 분야는 인력난이다. 애로점이 자금난·판매난에서 구인난으로 바뀐 것이다. 이를 반영하듯 전국 4천29개 업체에서 올해 필요한 외국인 산업연수생은 1만3천890명인데 비해 배정인원은 3천400명에 불과하다.
중소기업들이 겪고 있는 이같은 인력난은 이른바 더럽고, 힘들고, 위험한 일을 하지 않겠다는 3D업종 기피현상에 요즘엔 출·퇴근거리를 따지는 현상까지 덧붙여진 ‘4D 기피’풍조때문에 더욱 더 심화되고 있다. 그나마 제조업에 취업했던 사람들마저 노동강도가 낮은 서비스업 등 제3차산업으로 빠져나가는 이직현상이 늘어 인력난이 가중되고 있다.
공장에 사람이 없어 가동을 중단해야 하고 외국에서 주문이 들어오는데도 일할 사람이 없어 수주를 포기해야 한다면 그것 또한 경제적 위기가 아닐 수 없다. 실업자가 넘쳐나는 상태에서 이같은 인력구조의 기형적 현상이 일어난데 대해 우선 정부의 잘못된 실업자 대책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예컨대 고용대책중 공공근로사업같은 것은 실직자에 생활보조금을 나눠주기 위한 형식적 행사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막대한 국가재정이 이들 사업에 쓰이는 동안 3D업종 기업들은 구인난을 걱정하고 있다. 실업대책 자금 중 일부를 수요자 중심의 직업훈련에 할애한다면 인력난과 실업해소를 부분적이나마 함께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3D업종을 기피하는 일부 사회분위기도 바람직하지 않다. 노동력을 갖고 있는한 빈둥대고 놀고 지내는 것보다 산업현장을 찾겠다는 정신은 가치있는 것이다. 경영주의 책무 또한 중요하다. 열악한 작업환경을 개선할 뿐 아니라 처우와 복지개선을 통해 근로자들의 근로의욕을 복돋워 주어야 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