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소국’ 슬로베니아.월드컵 본선무대를 처음밟는 슬로베니아의 국민들은 자국팀이 지난 98년 프랑스월드컵때 당당히 3위에 오른 이웃나라 크로아티아의 뒤를 이어 2002 한·일 월드컵에서 ‘돌풍의 주역’이 될 것을 굳게 믿고 있다.
이런 확신은 즐라트코 자호비치라는 걸출한 스타를 보유하고 있는 데다 90년 이탈리아 월드컵 때 유고대표팀 멤버로 뛰었던 스레츠코 카타네치 감독의 뛰어난 지도력 때문이다.
특정선수에게 의존하기 보다는 모두가 유기적으로 움직이는 ‘공동체 플레이’를 강조하는 카타네치는 변방에 불과했던 슬로베니아를 2000년 유럽축구선수권에 이어 월드컵 본선에 진출시켰다.
슬로베니아는 지난 2월 4개국이 참가한 홍콩 칼스버그컵에서 온두라스에 1대5로 대패하고 중국과는 0대0 무승부를 기록한 뒤 페널티킥에서 4대3으로 신승했지만 이때는 주전 상당수가 빠졌있었다.
공격에 큰 비중을 두는 3-5-2 포메이션에 상황에 따라 4-4-2 시스템을 병행하는 슬로베니아는 밀란 오스테르치와 믈라덴 루도냐가 최전방 공격을 맡고 자호비치, 미란 파블린, 알레스 체흐, 아미르 카리치, 조니 노바크가 미드필드에 배치되는 형태다.
힘과 스피드가 뛰어난 슬로베니아의 공격 루트는 루도냐 등 발빠른 선수들을 활용한 좌우 측면돌파와 미드필드진의 순간 침투가 주를 이룬다.
슬로베니아의 장점은 월드컵 예선 21골 중 13골이 미드필더 또는 수비수의 발과 머리에서 나올 만큼 선수들이 고른 득점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이는 카타네치 감독이 주문하는 ‘공동체 플레이’의 산물이다.
마린코 갈리치, 젤리코 밀리노비치, 알렉산드르 크나프스가 이끄는 수비라인도 수비수 출신인 카타네치의 조련으로 그물망을 형성해 러시아, 유고 등 강호와 싸운 예선에서 12골만을 내주었다.
A매치 60경기에서 30골을 뽑아낸 ‘특급 골잡이’ 자호비치는 공격의 핵으로 넓은 시야와 개인기 패싱능력을 고루 갖췄으며 플레이메이커 역할을 거뜬히 소화하면서 찬스가 오면 어김없이 골잡이로 변신해 프랑스의 지네딘 지단에 비견되고 있다./정민수기자 jms@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