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한화갑 대표, 노무현 대통령후보의 투톱체제가 흔들린다. 한대표는 ‘지방선거 패배 시에도 노후보 신임여부가 제기돼서는 안된다’며 기회가 있을 때마다 후보중심의 전력투구를 다짐했다. 그럼에도 노후보는 ‘제2의 당 쇄신’을 줄기차게 요구하고 있다. 후보가 당의 지원을 받는 2원화보단 후보가 직접 당운영의 중심에 서는 구상이 실현되기를 바라는 것으로 해석된다. 대표와 후보의 분리는 한나라당 역시 같다. 그런데도 민주당의 입장은 이와 다른 게 DJ 차별화 때문이다. 지금의 민주당으로는 대선에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인식하는 노무현의 흔적을 적잖게 감지할 수 있다.
쇄신파가 말하는 아태재단 사회환원, 김홍일의원 거취표명 요구 등도 이와 맥을 같이 한다. 대선조직 전환의 중앙당 폐지론도 마찬가지다. 노 후보의 갈등은 김대중 대통령, 즉 ‘김심’의 적자이면서도 DJ 차별화가 불가피 한데 있다. 이런 가운데서나마 통일관만은 유일하게 DJ 완결판으로 치닫는 이유는 ‘김심’의 요체가 그같은 이념의 승계에 싹텄기 때문으로 보인다. 김 대통령은 내치엔 실패했다. 그 만회를 통일관으로 채우려는 욕구, 그리고 그같은 역할의 새로운 가신이 노무현인 것이다.
예컨대 6·15 선언 2항의 논란을 무조건 냉전사고로 매도하는 것을 들 수가 있다. 6·15 선언은 국회 인준 등 국민적 동의를 얻은 게 아니다. 국민적 주지는 얻었지만, 주지와 동의는 다르다. 대통령이라 하여 통일형태를 혼자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6·15 선언문이 역사적 합의임을 부정하진 않는다. 그러나 해석을 두고 ‘낮은 단계의 연방제’도 ‘연방제’라고 한 것은 바로 평양정권이다. 이에 대한 의문 표시를 수구적 냉전논리라고 한다면 평양 정권의 해석을 무작정 인정하자는 것인지 저의를 알 수 없다.
노무현 후보의 DJ 차별화는 대선 전술상의 방법이다. 그래서 DJ에 대해 모든 것을 상대적으로 비판해도 DJ 대북정책만은 절대적 신앙으로 받드는 것 같다. 두고보면 알겠지만 어떤 시나리오의 가능성 또한 없지 않다.
민주당의 ‘노무현 당’화는 지방선거 후가 고비일 것으로 전망된다. 지방선거의 패배 불문설은 현실성이 있을 것 같지 않다. 한 대표는 불문에 부칠지 몰라도 노 후보는 당에 책임을 묻는 중대 국면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노무현 정계개편론을 본격화 할 공산이 짙다. ‘노무현 당’화는 역할분담을 배제하는 제왕적 행태인 점에서 우려되는 점이많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