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축구대표팀이 지난 26일 프랑스와의 경기를끝으로 평가전일정을 마침에 따라 6월4일 폴란드, 10일 미국, 14일 포르투갈과의 조별리그 경기에 나설 필승의 공격카드도 사실상 윤곽을 드러냈다.
이달 열린 세차례 평가전에서 거스 히딩크 감독은 상대에 따라 수비전형에는 변화를 줬지만 공격에서는 최전방 원톱과 좌우 날개공격수를 세우는 스리톱 전형을 잇따라 가동했기에 본선에서도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이 전형을 사용할 전망.
우선 우리가 16강 진출을 위해 최소한 1승1무를 거둬야 하는 폴란드, 미국과의 경기에는 좌우 날개에 각각 돌파력을 갖춘 이천수, 박지성이 출격, 상대 측면 수비수들의 느린 발을 집중적으로 공략할 가능성이 높다.
지난 16일 스코틀랜드전에 출격한 이천수와 박지성은 센터포워드로 나섰던 황선홍과 계속 위치를 바꿔가며 측면은 물론 중앙까지 수시로 진출, 상대의 포백 수비라인을 흔들어 놓는 데 성공했다.
폴란드, 미국을 상대할 최전방 원톱 자리에는 폭넓은 활동반경과 강력한 몸싸움능력을 갖춘 설기현이 나설 것이 유력하다.
반면 한국이 무승부를 통해 ‘승점 1’ 확보를 노리고 있는 포르투갈전에서는 프랑스와의 경기에서 호흡을 맞췄던 설기현-황선홍-최태욱(왼쪽부터) 라인이 가동될 가능성이 높다.
포르투갈전의 최우선 과제는 든든한 수비진 구축인 만큼 박지성이 김남일, 유상철과 함께 중앙 미드필드를 지키게 될 것이 유력한 가운데 두 윙포워드역시 수비전환이 빠른 설기현과 최태욱이 낙점될 전망이다.
이같은 경우 중앙에서는 노련한 황선홍이 상대 수비수를 몰고 다니며 배후 침투의 공간을 만들어 주는 한편 미드필드까지 나와서 좌우로 볼을 투입하는 역할을 맡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후반 상황에 따라 투입될 공격진 5분 대기조의 면면 또한 만만치 않다.
골 결정력과 개인기가 뛰어난 안정환, 강인한 투지와 문전에서의 파괴력이 장점인 최용수, 빠른 측면돌파능력을 앞세운 차두리 등은 언제라도 침체된 경기에 활력을 불어 넣을 ‘변속기어’들이다.
한편 안정환이 최전방 조커로 낙점됨에 따라 대표팀에서 플레이메이커로 나설수 있는 유일한 카드가 된 윤정환은 후반 승부를 뒤집거나 균형을 맞춰야할 상황에서 ‘필살의 스루패스’를 주문받게 될 전망이다./특별취재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