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6·13 지방선거는 김대중정부 임기말과 월드컵 축구경기가 진행되는 동안 치러졌다. 그동안 월드컵 응원으로 모두들 들떠 있었고, 그와는 또 다르게 선거운동 과정에서 여러가지 비정상적인 작태도 많았다. 이런 상황에서 선거를 끝낸 우리가 이제부터 할일은 자명하다. 월드컵 경기의 성공적 진행과 경제회생에 한덩어리가 돼 전력을 쏟아붓는 일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의 단합과 화합을 해치는 선거후유증을 최소화하고 이를 조속히 치유해야 한다. 그동안 각 후보진영간 사생결단의 살벌했던 선거판 분위기를 차분히 가라 앉히고 평상심으로 되돌아 가는 것이 급선무다. 이성을 잃은 이번 선거판은 초반부터 원색적인 상호비방과 인신공격, 근거가 불분명한 폭로와 흑색선전, 지역감정을 자극하는 언동이 난무했다. 상대를 흠집내는 부정적 선거운동으로 분위기가 과격해지고 저질스런 언사와 동작으로 서로가 마음의 상처를 입게 됐다.
또 공직사회는 어떤가. 각기 서로 다른 후보쪽에 서서 노골적으로 특정후보 돕기에 나섰던 공무원 사이에 벌써 살생부까지 등장, 반목과 불신의 골이 깊어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렇게 된데는 각 후보진영의 책임이 크다. 이번 선거에서 싸웠던 모든 당사자들은 이같은 비생산적인 갈등과 반목을 말끔히 씻어내 경제를 회생시키고 지역을 발전시키는데 매진해야 한다. 승자는 겸양과 아량을 최대한 발휘하고 패자는 기꺼이 승복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번 선거가 역대 어느 선거때보다 혼탁·타락의 정도가 심했던 만큼 위법사례에 대한 사법조치는 철저해야 한다. 당선만 되면 그만이라는 잘못된 인식이 이번 기회에 고쳐지도록 확실한 본보기를 보여 주어야 한다. 그동안 후보들간의 이전투구속에 난무했던 터무니 없는 음해와 중상·모략 등 위법사례들은 철저한 수사로 관련자를 색출해 엄단해야 한다. 과거에 흔히 그랬던 것처럼 선거가 끝났다고 해서 엄연한 위법사례도 지난일로 치부하고 얼버무리게 된다면 우리 선거판의 고질은 영영 치유할 수 없을 것이다.
각 정당은 이제 선거후유증에서 속히 벗어나 차분한 마음으로 민생정치에 다가서야 한다. 하루빨리 국회 원(院)구성과 함께 민생법안 처리에 전념해야 한다. 월드컵 경기의 성공적 마무리를 위해서도 정치권의 국리(國利)적 협조가 있기를 재삼 당부하고자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