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글랜드 16강 탈락 징크스 깼다

‘축구 종가’ 잉글랜드가 2002 한·일월드컵축구에서 ‘죽음의 조’에서 생존한 팀의 16강탈락 악연을 끊었다.

스웨덴, 아르헨티나, 나이지리아와 함께 가장 치열한 싸움이 벌어졌던 조별리그 F조에서 조 2위로 16강에 오른 잉글랜드가 15일 덴마크를 3대0으로 가볍게 일축하고 8강에 안착, 과거 ‘죽음의 조’에서 가까스로 살아남은 뒤 이내 탈락한 전철을 밟지않았다.

지난 86년 멕시코월드컵부터 98년 프랑스대회까지 강팀들이 즐비했던 ‘죽음의 조’에서 토너먼트방식의 제2라운드에 오른 8개 팀중 7개팀이 1차관문 통과에 기력을 소진한 탓인지 8강진출에 실패, 도중하차하고 말았다.

단 한번의 예외를 찾는다면 서독으로 멕시코대회 당시 죽음의 E조를 통과한 뒤 승승장구하며 결승까지 진출, 준우승의 영예를 안았을 뿐이었다.

서독과 우루과이, 스코틀랜드와 같은 조에 편성돼 조별리그에서 3승, 조 수위를 차지했던 덴마크는 스페인에 5대1로 대패해 8강 진출에 실패했다.

4년뒤 이탈리아대회에서도 E조에 스페인, 벨기에, 우루과이, 한국이 편성돼 한국을 제외한 3팀이 접전을 벌여 스페인과 벨기에가 2라운드에 올랐지만 유고슬라비아와 잉글랜드에 각각 1대2와 0대1로 패배, 귀국 보따리를 쌌다.

94년 미국대회에서는 이탈리아, 아일랜드, 노르웨이, 멕시코가 격돌, 멕시코와 아일랜드가 어렵사리 16강티켓을 손에 넣었으나 불가리아와 ‘오렌지군단’ 네덜란드에 각각 1대3(승부차기)과 0대2로 무릎을 꿇었다.

프랑스대회 ‘죽음의 조’였던 D조(나이지리아, 파라과이, 스페인, 불가리아)에서 16강에 올랐던 나이지리아와 파라과이도 덴마크와 프랑스에 1대4와 0대1로 패해 죽음의 조에 편성된 팀들의 최고 성적은 대체로 16강으로 굳어져 왔다.

하지만 새 천년 첫 월드컵에서는 잉글랜드가 16강을 가볍게 통과한데 반해 F조 1위인 스웨덴은 16일 오후에 열린 16강전에서 A조 2위인 세네갈 돌풍에 희생양이 됐다. 스웨덴은 이날 전반 선취골을 기록하며 기세를 올렸지만 동점골을 내준 뒤 연장전에서 골든골로 져 징크스에서 벗어나지 못했다./월드컵 특별취재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