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일산구 고봉산에 250m 실거리 군부대 사격장을 설치하려는 고양시의 계획은 아무래도 무모하다. 당연히 백지화 또는 장소 변경 등을 재검토해야 한다.
지난 1999년 2월 일산구 탄현동 자연녹지 일대 6만여평을 ‘주택지 조성사업지구’로 지정하고 올들어 택지개발을 본격 추진하려는 고양시의 사정을 이해못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사업지구내에 있는 사격장(백마사격장)을 고봉산 기슭으로 옮기려고 한다는 것은 성급했다고 본다.
푸른 고봉산을 지키는 사람들·고양환경운동연합·고양시민회 등 고양지역 14개 시민·환경단체와 중산마을 아파트 주민들의 주장이 아니더라도 사격장이 들어서면 고봉산 등산로 폐쇄는 물론 고봉산 뒤쪽 중산마을 주민 3만여명이 유탄 안전사고와 소음공해에 시달릴 것은 자명한 노릇이다.
특히 27만4천평 일산 2지구에 포함된 고봉산 훼손을 막기 위해 시민·환경단체들이 땅 한 뼘 사기 운동까지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사격장 이전을 추진한다는 것은 주민들의 의견을 무시하는 행정이라는 비난을 피하기 어렵다. 더구나 고양시가 먼저 군부대에 사격장 이전 동의서류를 보내 요청했다면 그 여론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본란에서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해발 209m 고봉산 일대는 고양시 중심지역에 유일하게 남은 녹지공간이다. 그리고 지난달 24일부터 ‘고봉산 문봉서원 복원 및 역사·문화·생태공원 조성을 위한 땅 한 뼘 사들이기 운동본부’까지 구성, 천연늪지와 자연상태 보전이 양호한 1만5천여평 매입 범시민 운동을 활발히 전개중임을 잊은 것 같아 안타깝다. 만일 주민들의 안위를 위협하는 대규모 실거리 사격장을 주민 모르게 이전하려고 했다면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행정이다.
고양시와 군부대는 사격장 이전 계획이 비밀리에 진행되고 있다는 여론 해명 차원에서라도 구체적인 이전계획을 밝혀야 할 필요가 있다. 해당 군부대는 “현재로서는 사격장을 옮겨야 할 필요가 없다. 주민들의 동의가 없는 한 사격장은 옮기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고 있는데, 시에선 “군부대의 긍정적인 답변이 있을 경우 이전 계획을 확정할 방침”이라고 하면 어느 측의 말이 사실이란 말인가. 아무리 산이라고는 하지만 도심에 군부대 사격장을 설치하겠다니 말이 되지 않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