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교에서 석좌설립 추진을 통보받아 큰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미국대학에서는 한국인 최초로 자신의 이름의 석좌교수직(chair professorship)이 만들어지는 아주대학교 오명총장.
- 이번에 총장이름의 석좌가 만들어지는 뉴욕주립대학인 스토니브룩과는 어떤 관계입니까.
▲오총장=지난 72년 전자공학박사를 취득했으며, 명예 인문학박사도 수여 받은 적이 있다. 스토니브룩은 1957년 설립된 뉴욕주립대학(SUNY) 4개의 센터(캠퍼스) 중의 하나로 과학분야를 중심으로 급속히 성장한 대학이다. 현재 이 대학에는 123개 건물에 1천700명의 교수진과 2만명의 학생을 거느리고 있다.
-총장님은 스토니브룩의 3명의 University Professor 중의 한분이신데.
▲오총장=미국의 대학들에는 다양한 전공을 연구하는 교수가 생겨나면서 학교가 아닌 대학에 적을 두게하는 University Professor가 있는데 스토니브룩에는 3명이 있고 제가 2번째이며 졸업생 중에는 유일합니다. 세번째로 임명된 Marburger(현 백악관 보좌관)은 이 학교 총장이기도 합니다.
-한국대학에서 나오는 석좌교수와는 어떤 차이를 가지고 있는 것입니까.
▲오총장=석좌란 유명인의 업적을 기르기 위해 기금을 조성해 유명인 명의의 교수르 초빙하여 그의 연구활동을 지원하는 제도로서 미국 명문대학들은 서너개의 석좌를 설립하고 있다. 스토니부록에는 현재 알버트 아인쉬타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석좌가 설립돼 있고,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체닝 양이 현재 이 석좌의 교수다.
-스토니부룩이 오총장의 어떤 부분을 높이 평가하는가.
▲오총장=케니총장의 학교출신으로 한국의 정보통신 분야를 대표할 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고 한국이 21세가 정보강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해준 것이다.
-석좌설립 기금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오총장=교수 한번이 월급을 받을 수 있는 기금 150만불은 학교측이 기부했고, 연구비 150만불을 모금 중에 있는데 미국의 기업에서 전액을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는데 고려중에 있다. 개인적으로 큰 영광이지만 한국은 물론 동양인으로서도 처음이어서 자랑스럽게 생각한다./최종식기자 jschoi@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