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함성은 계속된다

붉은 함성은 그칠 줄을 몰랐다.붉은 전사들의 진군은 정상의 문턱에서 아쉽게 멈춰섰지만 이미 세계를 집어 삼켜버린 붉은 물결의 소용돌이는 결코 멈추지 않았다.

상암벌을 뒤덮은 6만5천여명의 붉은 악마들과 그라운드에 선 태극전사들의 거친숨결은 사이드라인과 스탠드 사이 11m의 거리를 뛰어넘어 한몸으로 융화됐고 영원토록 바래지 않을 찬연한 진홍빛을 발했다.

세계를 놀라게 한 90여분의 사투를 마무리짓고 고단한 걸음을 멈춰선 전사들에게 붉은 물결의 아낌없는 박수 갈채가 쏟아졌다.

경기 종료 휘슬이 울리고 전차군단 독일의 승리가 확인됐지만 ‘대∼한민국’의 포효는 한동안 울려퍼지고 또 울려퍼졌다.

붉은 악마들은 내동 발을 굴렀고 ‘코리아’ 두건을 돌리며 ‘오∼ 필승 코리아’를외쳐댔다. 이윽고 흘러나온 ‘아리랑’ 합창은 스탠드로 다가선 지친 전사들의 숨을 골라주는 정겨운 가락이었다.

부산, 대구, 인천, 대전, 광주를 거쳐 한반도 전역에서 4천800만의 기와 성원을 몰아온 거대한 물결과 함성은 서울월드컵경기장의 은빛 방패연 지붕을 배경삼아 지금껏 이뤄낸 ‘신화의 포효’를 한껏 뿜어냈다.

4강 신화를 창조하고 내쳐 달려온 김에 요코하마 스탠드의 빛나는 피파컵에 입맞춤하러 달려가려던 그들의 꿈은 안타깝게 접혔지만 몸을 내던진 전사들의 투혼은 승리보다 더 눈부시게 빛났다.

붉은 빛의 관중들은 경기 내내 발을 동동 굴렀다. 전반 20분, 44분 이영표와 최진철이 전차군단의 거한들과 겨루다 넘어져 그라운드를 나뒹굴때 관중들도 똑같은 아픔을 나눴다.

이천수, 차두리가 좌우측을 돌파할 때 그들의 발은 그라운드를 따라 뛰고 있었고 독일 공격수들의 날카로운 슈팅이 이운재의 가슴으로 사정없이 날아들 땐 관중들에게도 섬짓한 가슴졸임의 순간이 함께 했다.

전사들이 스탠드를 향해 걸어나올 때 붉은 꽃잎들은 한장 한장 포개지며 서로의 어깨를 감싸안았고 속으로 눈물을 토해냈다.

패배가 안타까워서가 아니라 그보다 더 찬란했던 투혼이 눈부셨기 때문이었다.

디펜딩 챔피언 프랑스의 침몰을 낳았던 2002 한·일월드컵 개막 대이변의 바로 그현장에서 코리아의 기적은 이렇게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48년 전부터 이어져온 다섯 번의 도전에서 단 1승도 건지지 못했던 한국축구가 이제 세계 정상의 자리가 전혀 어색하지 않은 강자로 우뚝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계의 이목을 끌어안아 세상을 뒤덮어 버린 붉은 응원의 물결은 한국 축구의 기적같은 월드컵 4강 신화를 만들어내기까지 지나온 역경의 순간들과 함께 한 땀방울 그 자체였다.

그들 모두 다음 번 정상의 자리를 약속할 자격이 충분할 만큼, 아니 넘치도록 고투하고 또 고투했다. 이제 달구벌에서 정상보다 더 값진 3위를 향해 붉은 물결과 태극전사들은 한번 더 용솟음칠 것이다./월드컵 특별취재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