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 월드컵 결산 한국 이끌 향토 태극전사

○…아시아 국가에서는 최초로 월드컵축구 4강에 진입한 한국 축구대표팀이 한·일월드컵의 성과를 토대로 4년뒤 독일월드컵에서 더욱 선전하기를 국민은 벌써부터 기대하고 있다. 이번 월드컵 출전을 계기로 4년후 무서운 호랑이로 커나갈 경기·인천지역 출신 차세대 스타들을 5회에 걸쳐 소개한다.

①박지성

2002 한·일월드컵을 통해 한국팀에서 가장 성장한 선수로는 단연 박지성(21·교토 퍼플상가)이 꼽힐 것이다.

6월14일 인천에서 열린 포르투갈과의 조별리그 3번째 경기.

지난달 세계최강 잉글랜드, 프랑스와의 평가전에서 각각 득점에 성공하며 ‘강호킬러’라는 별명을 얻은 박지성은 후반 25분 16강진출을 자축하는 동시에 루이스 피구가 버틴 ‘거함’ 포르투갈을 꺾는 통렬한 결승골을 터트렸다.

이전까지 박지성에게 득점을 기대하는 이들은 거의 없었지만 그는 유럽의 최강팀들을 상대로 멋진 골을 성공시키며 자신의 이름 석자를 세계에 알렸다.

박지성의 성공은 히딩크 감독이 빚어낸 작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뛰어난 지구력과 쉼없는 움직임을 바탕으로 히딩크의 키워드인 ‘압박’과 ‘멀티포지션’을 모두 만족시킨 박지성은 지난해 이영표와 함께 대표팀의 수비형 미드필더를 맡아 공수의 연결고리 역할을 충실히 해내며 히딩크 감독의 절대적인 신임을 받았다.

그 신뢰를 바탕으로 주전자리를 굳혔던 박지성은 지난해 말 미국과의 평가전과 올초 북중미골드컵에서 한 동안 중앙 공격형 미드필더로 자리를 옮겨 집중적인 테스트를 받기도 했었다.

그런 박지성에게도 위기는 찾아왔다.

골드컵때 아킬레스건을 다쳐 슬럼프에 빠진 박지성은 대표팀의 체제가 정비되던 지난 3월 유럽전지훈련때 졸지에 자기 포지션을 잃은 미아신세가 됐고 당시 치른 세차례 평가전 중 마지막 터키전에서 후반 19분 교체 투입됐던게 전부였다.

하지만 이때 히딩크 감독이 박지성에게 입혀 준 새 옷은 오른쪽 윙 포워드.

수비보다는 공격에 비중을 두는 3-4-3 시스템을 주전형으로 굳힌 히딩크 감독은 박지성이 그동안 중앙 미드필드에서 뛰느라 숨겨뒀던 돌파력과 수비가담 능력을 동시에 살릴 수 있도록 오른쪽 날개 자리에서 기회를 줬고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아직 소년의 이미지를 털지 못한 앳된 얼굴이지만 25일 독일과의 준결승을 치른뒤 “조건만 맞으면 유럽 어느 팀에 라도 진출하고 싶다”며 야무진 각오를 밝힌 박지성이 이번 소중한 경험을 자산삼아 한국축구의 대들보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월드컵 특별취재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