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민주당대통령 후보의 DJ차별화는 이제 효험이 있을 수 없다. 대통령이 힘이 있을 땐 아무말 않거나 입장표명을 얼버무렸다. DJ는 이제 정치적 힘을 잃었다. 되레 비겁해 보일 수 있다. 적기와 실기의 차이가 여기에 있다. 적기의 데드라인은 지방선거 전이다. 지방선거 전도 이미 많이 늦었지만 그래도 하려면 그것도 책임을 분담하면서 그때 했어야
했다.
지방선거 패배의 당 책임을 이제 와서 차별화로 떠넘기려는 것은 기회주의적 처신이다. 아니면 차별화란 게 겉다르고 속다른 정치적 기만이든지 어떻든 둘 중 하나다. 정치적 기만이란 남북관계를 위해선 다른 건 다 깽판놔도 된다고 한 것에 차별화 대책도 포함된 게 아니냐는 의문이다.
노 후보는 이렇게 변명했다. 차별화를 미룬 것은 DJ의 정치적 공과에 대한 논평을 자제해 온 것으로 이유는 아들들 부패가 그토록 심한 줄 미처 몰랐기 때문이란 투로 말했다. 누가 그 말을 믿겠는지 생각해 본다. 두 아들 비리는 이 나라 사람이면 다 알고 있었던 일이다. 유독 노후보만이 몰랐다면 대통령이 되겠다는 사람의 자질을 의심할 수 밖에 없다.
‘부패대책’ 뭣인가를 만든다고 한다. 그런 것을 만든다고 노후보 진영이 정치적 부패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고 믿을 사람은 있을 것 같지 않다. 드러난 예로 노후보가 검찰 일선에 기소중지자 사건의 선처를 전화 한 것도 이 역시 지위를 이용해 압박을 행사한 부패행위다. 이에 진솔한 사과는 커녕 정치인이란 다 그런다고 강변한 것은 더욱 놀라운 의식부패다. 금전부패가 의식부패에 기인한다고 보면 의식부패가 결코 가볍다 할 수 없다.
노 후보가 진정 새로운 면모를 보이고자 한다면 이젠 남을 걸고 넘어가기 보다는 자신의 변화를 먼저 설득력 있게 보이는 게 더 옳다. 부산사람들이 DJ 미워 할 줄만 알고 노무현이 귀한 줄 모른다는 식의 발언은 지극히 방자한 생각이었다. 아직도 이런 생각을 떨치지 못한 것은 유감이다.
DJ차별화로 들먹이는 아태재단 사회환원, 김홍일 의원 탈당 요구 등은 새로운 처방이 못된다. 굳이 그러지 않아도 그렇게 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김대중 대통령의 내치 중지요구는 당치않은 초헌법적 발상이다. 노무현 후보는 아무리 DJ 그림자 지우기에 애써도 벌써 DJ 그림자에 갇힌 것으로 보는 국민적 시계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김대중 정권의 실정은 DJ만이 아닌 노무현도 함께 한 당의 책임 또한 크다. 차라리 실정과 비리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는 성의있는 자세를 보이는 게 순리다. 만일 이런 게 싫다면 딴 생각을 가진 것으로 볼 수 밖에 없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