孫지사, 공무원들에게 애정을

오늘 취임하는 손학규 경기도지사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이 한 두가지 일 수 없다. 무척 많지만 가장 먼저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직업공무원 사회의 안정이다. 왜냐하면 행정가치를 창출, 확대 재생산하여 지역사회 지역주민에게 보급하는 주체는 어디까지나 공무원들이기 때문이다. 손지사가 아무리 좋은 착안을 해도 이를 제대로 받들어 주는 공무원이 없으면 별 효험이 없다.

그렇다고 공무원들이 일을 안하는 게 아니다. 상사의 뜻을 수동적으로 받드는 것과 능동적으로 받드는 차이가 얼마나 천양지차인가를 말하는 것이다. 김영삼 정권의 공무원 사회를 복지부동이라고 했지만 공무원들이 일을 안한 건 아니다. 공무원들의 사기가 꺾여 마지못해 피동적으로 움직였기 때문에 능력이 극대화하지 못했을 따름이다. 김대중 정권 역시 마찬가지다. 공무원 비리는 일상적 경계의 대상이다. 이런데도 마치 공무원사회를 우범시하여 우정 적으로 만든 실책이 두 김씨 정권이 실패를 가져온 근원적 요인이다. 예컨대 의약분업의 파장은 공무원들이 피동적으로 대처한, 즉 소화되지 않은 행정의 설사 현상이었던 것이다.

공무원사회는 어느 집단사회 못지않게 우수하다. 특히 경기도 공무원사회는 중앙부처 못지않다. 행정의 질 뿐만 아니라 도 공무원들의 두뇌 또한 비약적 발전을 거듭하였다. 이러한 성장을 저해하지 않고 더욱 도약시켜야 할 책임이 바로 신임 지사에게 부하된 책임인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손지사의 형안이 요구된다. 능력있는 일반직 공무원은 상사가 누구이든 간에 충실을 다한다. 전임자에게 충실하지 못한 공무원은

후임자에게도 역시 마찬가지다. 한마디로 다 같이 손지사의 손과 발인 것이 직업공무원 사회다. 이에 그 무엇을 굳이 구별하는 것은 정말 부질없다. 손지사가 도정 추진에 깊이 명심해야 할 것은 공무원사회에 일할 맛 나는 신바람을 계속 고취해줘야 한다는 사실이다. 공무원들에겐 보수 못지않게 자긍심을 갖는 것이 명예욕이다. 인정감이다.

인정감을 받을 때 소임의 행정가치가 더욱 창출되는 게 공무원사회의 본능이다.

이를위해 해야할 구체적 방안에 어려움이 또한 없지 않음을 안다. 그러나 직업공무원 사회에 애정을 쏟는 손지사의 노력이 일단은 말단 공무원들에까지 어떻게든 인지되기를 바란다.

이는 손지사를 위해서 하는 말이 아니다. 공무원들을 위한 것도 아니다. 바로 지역사회, 지역주민 일환의 경기도를 위한 충고다. 따라서 변칙보단 원칙이 앞서고, 도정의 불안한 돌출보다는 안정속에 성장하고, 이런 가운데 공무원들이 마음 놓고 행정가치 창출을 위해 노력할 수 있는 여건이 이어지기를 거듭 당부코자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