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94년부터 매립공사를 벌이고 있는 전체 535만평 규모의 인천 송도 신도시에 2020년까지 바이오산업단지, 테크노파크, 국제업무단지, 골프장, 주거단지가 단계적으로 들어선다는 정부와 인천시의 발표가 나왔다. 현재 매립이 완료된 176만평에는 2005년까지 주택단지(54만평), 지식정보산업단지(80만평), 바이오산업단지가 조성되며, 바이오산업단지에는 에이즈 치료약 개발업체인 미국 박스젠사가 1억5천만 달러를
투자, 3만평 규모의 연구개발(R&D)센터 및 생산시설을 건설할 계획이다.
내년초 경제특구로 지정될 예정인 송도 신도시를 국제업무·지식개발산업 중심지로 개발하기 위해 인천과 영종도를 잇는 제2연륙교를 2008년 완공을 목표로 조기 착공하고 경제특구 내에서는 외국 전문기술인력과 외국기업 임직원에 대한 체류기간 상한이 현행 2년에서 3년으로 확대된다고 한다.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국가 실현방안의 일환으로 이같은 내용의 제1차 시안을 마련, 이달 중순 경제정책조정회의에서 확정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 하반기에 제정될 경제특구법에 따라 영종도, 김포, 부산항만, 광양만 배후지역과 함께 송도 신도시를 경제특구로 지정, 각종 세제지원, 부담금 감면 혜택은 물론 주거·교육·의료여건 개선 등 외국인 투자유치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기로 했다고 한다.
인천도시지하철 1호선이 송도신도시까지 연장되며 현재 8차선인 해안도로도 12차선으로 확장된다니 활기찬 인천시의 미래상이 한눈에 보인다. 그러나 우려되는 점이 있다. 송도신도시 매립사업과 도로 건설 등 기반시설 조성에만 들어가는 자금이 무려 2조3천377억원에 달한다고 하는데 자원을 토지매각 대금으로만 대체하려 하고 있는 점이다. 특히 건교부와 인천시가 신도시 개발자금을 대부분 외자유치에 의존, 만일
외자유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장밋빛 계획으로 그칠 우려가 있다.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는 송도 미사일기지를 영종도로 이전하는 계획이 난관에 부딪친 것도 경제특구 조성 이전에 선결해야 할 과제다. 영종도 주민들과 인천지역 30여개 시민·환경단체들이 반대하는 ‘미사일기지’를 영종도로 이전하라는 게 아니다. 다른 적합장소를 선택하라는 것이다.
6만3천가구, 18만명의 상주인구와 70여동의 사무실 빌딩, 백화점, 컨벤션센터 및 첨단지식정보산업을 갖춘 동아시아의 국제업무·교류 거점도시로 자리잡는 송도 신도시 경제특구가 차질없이 조성되기를 기대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