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농가들이 우유를 폐기하는 사태가 속출하고 있어 안타깝기 그지 없다. 값싼 외국산 분유가 밀려드는데다 소비는 줄고 분유 재고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 판로가 막혔기 때문이다. 거기다가 정부의 우유수급조절기금마저 고갈된 상태여서 낙농가들이 극심한 타격을 받고 있다.
특히 경기도는 낙농가 4천680가구, 젖소 19만9천200여마리로 전국의 37%를 차지하고 있어 ‘우유파동’이 발생할 경우 가장 피해가 많을 것이 분명해 걱정이 크다.
6월말 현재 분유의 재고량이 전국적으로 1만9천600t에 이르는데 이는 지난해말 5천800여t에 비해 1만3천여t을 상회하고 적정 재고량 6천t의 3배를 넘는 수치다.
우유수급조절을 담당하는 낙농진흥회가 재고 소비를 위해 분유를 국내생산 원가인 1kg당 6천500원을 포기하고 수입분유가인 2천500원에 시중에 내놓고 있으나 이마저도 대규모 소비처인 유가공업체와 식품제과업체가 외면하고 있다고 한다. 이들 업체들이 해외업체들과 계약에 묶여 있어 국내 분유값이 아무리 내려도 매입할 입장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렇게 수급불균형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어 특단의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한국 낙농의 장래는 암울하기 짝이 없다.
낙농가 단체 낙농육우협회는 비영리법인 낙농진흥회가 수급예측을 전혀 하지 못한 탓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낙농진흥회가 올해초만 해도 우유 생산을 독려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책임유무를 가릴 때가 아니다. 해결책부터 강구해야 한다.
농림부, 경기도, 낙농육우협회 등은 젖소 10% 도태를 골자로 한 우유 수급조절 계획을 시행중이나 구제역 예방 돼지처럼 젖소를 살처분하는 게 능사는 아니라고 본다.
경기도의 경우 목표두수 1만1천여두 가운데 82%인 9천300여두를 도축했으나 당장 재고 감소에는 효과가 없기 때문이다.
우선 농림부가 수급조절 기금을 추가 배정해 주지 않으면 집유가 불가능해 진다. 해외업체들과의 계약이 문제가 되겠으나 유가공업체와 식품·제과업체들도 국내 생산 분유를 최대한 사용해야 할 것이다.
특히 전체 국민들의 ‘소비확대’는 우유파동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일정기간 우유 생산을 감축하는 가운데 전국적인 ‘우유 먹기’캠페인 등을 전개하여 낙농가의 파산을 막아야할 때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