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유통업체들의 문제점

v

도내에 산재한 백화점· 할인점 등 대형 유통업체들의 안전불감증이 여전하다는 본보의 보도가 있었다. 대부분의 백화점이 통로와 에스컬레이터 옆, 심지어 비상구 및 계단 등에도 각종 물품과 박스 등을 잔뜩 쌓아 놓아 통행에 불편을 주고, 소화전은 입주업체의 브랜드 등으로 가려져 있다는 것이다. 매장 통로·계단 곳곳에 물품박스가 즐비하고 더구나 소화전·비상구 위치조차 모를 정도여서 안전불감증으로 인한 고객들의 통행불편은 물론 대형사고가 심히 우려된다고 한다.

농축산물에 대한 원산지표시가 아직 정착되지 않은 것도 문제점이다. 일부 백화점들이 국내산과 수입산 제품을 섞어놓은 채 판매하고 있어 소비자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는 것이다. 7월1일부터 수산물에 대한 원산지 표시가 의무화됐는데도 수족관에 국내산과 수입산 활어를 함께 섞어 넣는가 하면, 축산물, 곡물 등은 국산·수입산이 뒤죽박죽 섞여 있어 소비자들이 골탕을 먹고 있다.

대형유통업체들이 용도변경 허가도 받지 않은 채 편의시설인 주차시설을 야적장으로 사용하고 의무적으로 설치토록 돼있는 조경공간을 관리 소홀로 훼손하고 있는 실태 역시 문제가 크다.

판매·주차시설 공간으로 허가 받았으나 판매시설은 전무한 채 화물차들만이 즐비하고 장애인전용 주차공간마저도 화물차들이 버젓이 차지하고 있어 장애인 편의를 외면하고 있다. 주차장 건물 입구 조경면적에도 준공 당시의 조형수목들이 있어야 하지만 관리 소홀로 인해 대부분 고사하고 병든 나무들만 있는 곳이 상당수에 이른다.

이렇게 용도변경 허가 없이 곳곳마다 상품박스를 적치하고 장애인 전용공간을 화물처리장으로 사용하는 등 장삿속에만 급급하고 있는 것은 고객불편을 ‘나 몰라라’하는 배짱 영업이다. 지역 주민들이 각종 상품을 손쉽게 또는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명분을 내세워 최근 우후죽순처럼 들어서는 대형 유통업체들이 지역경제에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쇼핑객들의 편의와 안전을 계속 외면한다면 상도의에

어긋나는 일이다. 물론 소비자들로부터 무시당할 것은 뻔한 노릇이다. 대형유통업체들의 자율적인 개선은 물론 당국의 지도, 단속 실시를 촉구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