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이 본래 ‘돈장사 ’하는 곳이긴 하지만 최근의 행태는 그 도가 너무 심하다. 그동안 있었던 일부 은행원들의 불상사는 덮어두고 몇가지 예를 들겠다.
금융감독원은 올해초 고객신용도나 연체기간에 관계없이 연 18∼19%로 획일적으로 적용해온 연체대출금리를 상반기까지 개선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그러나 국민은행과 우리은행만 1월과 3월에 각각 개편했을뿐 나머지 은행들은 종전의 연체대출금리 적용방식을 고수하고 있다고 한다. 연체대출금리를 연체기간 및 금액, 고객의 신용등급 등에 따라 다르게할 경우, 은행별로 2∼3%포인트 정도의 금리인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은행권 전체로는 연간 2천500억∼4천억원의 대출이자가 줄어든다는 것이다.
주5일 근무제에 따른 전산시스템 변경작업을 하느라 연체대출금리 개선이 후순위로 밀린 측면이 있다는 것이 은행측의 해명이다. 한마디로 궁색하기 짝이 없는 변명이다.평균 연체금리 인하에 따른 수익감소를 우려해 굳이 서둘러 개편하지 않는 것이 분명하다. 그러니까 금감원의 지시가 통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서비스 개선은 인색하고 수수료 챙기는 일엔 능숙한 것도 고객을 얕잡아보는 처사다. 창구를 이용한 송금과 자동화기기(CD/ATM)를 통한 이체 역시 불합리한 부분이 많다.계좌이체의 경우 동일지역으로 보내거나 타지역으로 보내거나 발생원가는 같은데도 타지역은 더 높은 수수료를 부과한다. 타행환 송금의 경우, 은행별로 차이는 있으나 창구를 이용할 때 100만원 이하는 보통 2천원의 수수료를 내야하지만 자동화기기를
이용하면 1천300원대로 700원의 차이를 보인다. 100만원 이상은 창구가 3천∼4천원, 자동화기기는 2천∼2천500원으로 격차가 더 벌어진다. 또 창구 담당 직원이 줄어들어 대기시간이 늘어나는데다 주5일 근무제 실시로 거래은행까지 가서 현금을 인출하는 경우보다 근처 타은행이나 편의점 등의 자동화기기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폭발적으로 증가, 은행의 수수료 이익은 더욱 늘어날 것이다.그러나 자동화기기 이용 수수료를 인하하기는 커녕 오히려 높이려는 현상이다. 아쉬운 것은 이용자들이니 은행은 급할 게 없다는 식이다.
수익을 높이는 것은 기업의 당연한 경영이겠으나 은행은 공익성이 우선해야한다. 연체대출금리 변경에는 늑장을 부리고 수신금리는 신속하게 내리는 것은 비난을 면키 어렵다. 금감원의 보다 강력한 방침을 촉구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