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학철 지방대의 고민

편입학철을 맞아 수도권 내 하위권 지방대학에 또 비상이 걸렸다. 이번엔 또 얼마나 많은 학생들이 서울과 수도권 중·상위권 대학으로 빠져나갈 것인지를 걱정해야 한다. 해마다 치열한 경쟁률을 보이는 편입학은 전문대에서 4년제 대학으로 편입하기 보다는 대부분 하위권 지방대 학생들이 서울과 수도권 중·상위권 대학으로 이동하는 것이어서 대학간 서열화가 뚜렷해져 지방 하위권 대학들이 공통으로 겪는 고통이다.

대량 편입학 사태는 교육부가 지난 96년부터 학과별 여석(餘席)산정을 재적 기준에서 재학 기준으로 바꾼 데서 연유한다. 재적·퇴학 등에 따른 결원만을 여석으로 인정하던 것을 군입대 등에 따른 휴학 인원까지 확대해 전체적으로 편입학 인원이 크게 늘어난 것이다. 서울 소재 대학으로 빠져나간 학생들을 채우기 위해 수도권 중위권 대학들이 편입생을 대거 모집하면서 연쇄적으로 대학간 학생 대이동이 시작되고 있다.

이로인해 일부 대학의 경우는 최근 학생이 너무 줄어 일부 학과 또는 학교 전체가 존립을 위협받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수도권 중위권 대학들 중 비인기 학과들도 마찬가지 운명이다. 재학생들이 취업이 안된다는 이유로 잇따라 빠져나가고 지방대생을 평가절하하는 기업과 사회의 인식도 여전하다. 이처럼 지방대는 취업난·학생이탈·재정난 등 3중고에 빠져 있는 것이다.

5공화국 이래 우후죽순처럼 늘어난 지방대학들이 엄청난 시설투자를 해놓고도 학생 정원을 채우는 일조차 어려움을 겪는다면 이는 사회적으로 크나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 이같은 지방대의 위기는 지방의 위기로 이어진다. 따라서 나라의 균형발전을 위해 지방대 육성은 매우 중요하다. 지방대를 충실히 육성해 인재가 배출되고 그들이 지방발전을 위해 일하게 되면 지역이 활성화되고 침체에 빠진 지역경제를 되살릴 수 있다.

교육부는 지금까지 여러 차례 지방대 육성책을 내놓았다. 그렇지만 개별대학 지원 등 소극적인 대책이 대부분이었고 이것도 시간이 흐르면서 흐지부지되곤 했다. 지방대에 입학하는 우수학생에 대한 정부의 학자금 등 지원과 함께 지방대 졸업생의 일반기업 취업차별금지 등이 실효를 거둘 수 있도록 획기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지방대 스스로도 특색 없는 백화점식 교과과정에서 벗어나 지역특성에 맞고, 전문화한 대학으로 거듭나는 자구노력을 해야 한다. 이젠 대학의 양적 팽창보다는 모든 대학이 그나름의 특색과 권위를 찾는 일이 시급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