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는 지금 자외선과 전쟁(?) 중’
한여름에는 강렬한 태양과 고온다습한 기후, 심한 노출 등으로 인해 피부가 상하기 쉽다. 여름철 피부질환을 예방하고 지친 피부에 활력을 주는 관리법을 알아보자.
피서지에서 여름철 일광화상과 기미 등을 예방하려면 자외선 차단제가 필수다. 일광화상으로 피부가 따갑고 물집이 생겼을 때는 먼저 차가운 물수건이나 얼음주머니로 피부를 진정시켜준다. 화장수 찜질도 효과적이며 오이나 감자 등 천연팩도 도움이 된다.
해수욕 후에는 염분을 완전히 씻어주고, 숲이나 야외로 나갈 때는 긴옷을 입어 접촉성 피부염을 예방한다. 마른 수건으로 땀을 자주 닦아주고, 외출 후에는 화장수를 충분히 적셔 발라주는 것이 좋다. 뾰루지도 햇볕에 장시간 노출되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분당차병원 박욱화 교수는 “햇볕에 지친 피부는 탄력없이 늘어지고 모공도 넓어지며 눈밑 주름과 잔주름이 늘어난다”며 “피부를 차갑게 유지하고, 특히 얼굴은 햇볕에 직접 노출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또 “선탠 제품을 바르고 선탠을 하더라도 일광화상을 입을 수 있다”며 “특히 피부를 갈색으로 만들어주는 ‘태닝제품’은 자외선에 대한 보호작용이 없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캉스 후에 일광화상을 입었을 때는 증상이 심한 경우 아스피린을 복용해 통증과 염증을 완화할 수 있다. 껍질이 일어날 때는 자연스럽게 벗겨지도록 한다. 바캉스에서 돌아온 후에는 화이트 케어를 통해 피부색소 침착을 방지하고, 스킨스케일링 등 피부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아주대병원 이성낙 교수는 “저농도의 스킨스케일링을 이용해 피부 표면을 살짝 벗겨내고 비타민을 피부에 투과하는 치료 등을 받으면 바캉스 이전의 피부로 빠르게 돌아갈 수 있다”며 “자극이 진정되면서 피부가 거칠어지면 샤워나 목욕시 순한 비누와 보디샴푸를 사용하고, 목욕 후에는 보습제를 발라가며 가볍게 마사지해주면 좋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또 “피서지에서 햇볕에 오래 노출되거나 무리한 경구피임제 복용은 기미의 원인이 된다”며 “생리가 시작될 무렵에는 특히 햇볕 노출에 주의를 요한다”고 지적했다.
/고영규기자 ygk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