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총리서리의 ‘재산’

장대환 총리서리의 많은 재산에 관심을 갖는 것은 장상 전 총리서리의 재산에 관심이 컸기 때문이다. 장 전 총리서리는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재산형성 과정에 혹독한 신문을 당했다. 장 현 총리서리는 장 전 총리서리보다 몇배나 재산이 더 많다. 본인 명의만도 29억2천여만원, 가족명의를 포함하면 56억4천700여만원에 이른다. 국무위원 가운데 단연 톱이다. 부동산, 예금, 유가증권, 회원권, 귀금속 등 내용 또한

가지가지다. 부동산도 서울시내 빌딩을 비롯, 서귀포 당진 등 전국 10여곳에 산재하여 취득 경위가 궁금하다. 예컨대 농사꾼도 아니면서 김제시 옥산동에는 왜 700여평의 논을 사둔 것인지 알수 없다. 모두 27억원대의 부동산 소유 과정이 과연 투명한 것인지 잘 알아봐야 하는 게 청문회의 큰 과제다.

주식 등 취득과정은 베일에 쌓여있다. 이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골프회원권이 네개나 된다. 장 총리서리 말고 국무위원 중 네개의 골프회원권을 갖고 있는 사람이 또 있는지 확인해보기 바란다. 고위 공직자로서는 도덕성에 관련 된다. 옛 한빛은행에서 본인 23억9천만원, 부인 13억5천만원 등 도합 37억4천만원을 대출받은 게 과연 정상인지 잘 알 수 없다. 법인도 아닌 개인 대출에 일반인은 상상도 못할 거액의 용도는 또 뭣이었는지 청문회가 정확히 짚어야 한다.

장 총리서리는 집안이나 처가쪽이 부유한 편이어서 좋은 환경에 있다고는 생각한다. 국무위원 중 1위의 재산을 지녔다 하여 부정적으로만 여길 것은 아니다. 그러나 세상이 그렇지 않다. 더욱 현직(顯職)의 공직자에게는 더 말할 게 없다. 이재(理財)의 달인인지, 투기(投機)의 명수인지를 청문회가 가려내야 하는 대상이 된다. 그리고 과정이 아무리 가혹하다 하여도 지나침이 없다.

장 전 총리서리는 장 현 총리서리보다 훨씬 못한 재산을 갖고도 신랄한 추궁을 받았다. 장 전 총리서리가 국회 인준을 못받고 낙마한 것은 결코 여성이기 때문이 아니다. 앞으로의 청문회 신문이 만약 형평성을 잃고 어물쩍 하게 넘어 간다면 성차별의 비난을 모면할 수 없다. 청문회 잣대는 누구에게든 똑같이 재야 공평하다. 특히 장 현 총리서리의 재산문제엔 적어도 장 전 총리서리수준 정도의 규명이 요구되는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