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이 정권의 실정과 부패에 책임이 있는 여당이다. 김대중 대통령이 비록 탈당했다고 하나 아직도 정권과 함께 가고 있다. 이러면서도 민주당 간판으로는 도저히 재집권이 어렵다는 판단하에 신당창당, 즉 신장개업을 서둔다. 책임은 DJ에게 미뤄 외면하고 정권상속만 노리는 신장개업 속셈에 그러는가보다 했다. 그것은 민주당의 자의에 속하는 일이고 최종 심판은 국민의 몫이기 때문이다. 이런 관망 속에서 그래도 비판이 제기되지 않을 수 없는 것은 민주당의 현실 인식이 지나치게 안일한데 기인한다.
대선까지 물고 늘어질 것으로 보이는 병풍의 정치공세는 이 정권의 비정과 실책을 호도하고자 하는 마지노선 정략으로 보아져 그렇다고 치자. 병역비리를 두둔할 생각은 그 누구도 있을 수 없는 사회정서를 틈새공격 삼는 정치공세는 과유불급일 수 있으나 자제를 거부하면 민주당의 선택일 수 밖에 없다. 하나, 오만을 아직도 감추지 못하는 당의 행태는 정치발전을 위해 심히 유감이라는 생각을 갖는다.
예컨대 장대환 총리지명자에 대한 국회 표결을 둘러싸고 보여준 민주당의 언동은 염치를 의심케 한다. 표결에 앞서 사회적 정서가 이미 불가쪽으로 기울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통령과 함께 가는 여당 입장에서 가결코자 했던 고충은 안다. 문제는 표결 전후에서 발견된다. 한나라당이 반대키로 한 당론을 구실로 표결이 선포된 본회의장을 한동안 집단 퇴장한 것은 어떤 이유로든 합리화가 불가능하다. 남의 당론 결정까지 시비 삼는 건 정당정치의 상궤가 아니다.
부결된데 대한 공격 또한 당치않다. 한화갑 대표는 “한나라당은 국가의 장래를 염두에 두지 않고 있다”고 했다. 노무현 대통령 후보는 “국정공백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애시당초 제대로 검증되지 못해 적절치 않은 사람을 명색이 총리로 지명한 청와대측 잘못이 크다. 이를 지적할 국민적 용기는 갖지 못한채 되레 비난을 위한 비난을 일삼았다. 한 대표나 노 후보 말대로라면 지명자의 자질이 어떻든 총리자리가 다급하니까 아무나 시켜주자는 것 밖에 안되지만 그럴 수는 없다. 청와대가 오기를 부리지 않고 순리를 따르면 국정혼란이 있고 말것도 없음을 이미 피력한 바가 있으므로 더 말할 필요는 없다.
다만 이런 일로 새삼 강조되는 것은 민주당이 아직도 정신을 덜 차렸다는 사실이 불행하다. 청와대는 현실 인식이 미흡하고 여당은 정신을 덜 차리고, 이래서는 국정이 제대로 돌아간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신당을 만들면서도 그래야 하는 절박한 형편을 절박한 것 만큼 민심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