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저신장 치료법자녀를 키우는 과정에서 받는 가장 큰 스트레스는 무엇일까. 개인의 가치관에 따라 다르겠지만, 자녀의 키가 또래보다 작을 때 받는 스트레스도 무시하지 못할 것이다.
어린이의 키는 건강과 영양상태, 유전적 영향에 크게 좌우된다. 정상인의 성장곡선에서 벗어나는 발육은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질병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평소 자녀의 성장상태를 꼼꼼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 자식들이 큰 키를 갖기 원하는 부모들의 관심외엔 자녀들 또한 큰 키에 대한 선호도와 작은 키에 대한 열등감 또한 대단하다.
우리나라 초등고교생들이 바라는 키는 남학생 평균 181.2cm, 여학생은 평균 169.2cm로 조사되었다. 모 대학병원이 서울 시내 3천382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이다.
남학생들이 원하는 신장은 20세 남성의 평균신장 173cm보다 8.2cm 더 큰 것이고, 여학생들이 원하는 신장은 20세 여성의 평균신장 160cm보다 9.2cm 더 큰 것이다. 현재 자신의 키에 만족하는 빈도는 남학생 29%, 여학생 23.2%에 불과하다. 한마디로 우리 청소년들은 자신의 키가 너무 작다고 생각하고 사는 셈이다.
과학의 발전과 함께 외모보다 능력이나 개성을 중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높지만 아직도 작은 키의 사춘기 청소년들은 심각한 정신적 열등감을 이기지 못하고 사회생활에서 소극적으로 되는 경향이 있다.
사실 부모가 저신장이라고 걱정하는 아이들 중 상당수는 정상이다. 단지 키가 다소 작을 뿐이다. 이런 아이들은 유전적 원인이 많다. 부모의 키가 작거나 늦게 크는 체질성 성장지연인 경우로 볼 수 있다. 이밖에 영양상태가 불량하거나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요인, 내장관질환 등 만성병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정 질환이 저신장의 원인이라면 그 원인을 찾아 치료해 주면 정상적으로 자라게 된다.
김세현(군포 한빛정형외과 원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