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자동차 ’근로자 특수건강검진 은폐.축소’

기아자동차 근로자들에 대한 직업성 난청 특수건강검진 결과가 축소·은폐됐다는 주장이 제기돼 파문이 일고 있다.

기아자동차 노동조합은 25일 오전 광명시 소하동 노조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최근 3년동안 기아자동차 소하리, 화성, 광주공장 등의 검진 결과를 동국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김수근 박사에게 맡겨 재검토한 결과, 직업병에 걸린 근로자들을 정상으로 판정하는 등 200여명의 검진 결과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이어 “소하리 공장의 특수검진을 담당한 H대 의료원은 최근 2년동안 직업병 판정인 D1을 받아야 할 노동자 50명에게 개인적으로 치료해야 하는 D2 판정이나 직업병 유소견자인 C1 판정을 내렸으며 재검토가 필요한 건수도 36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노조는 또 “D보건협회가 실시한 화성공장도 99명이 소음성 난청으로 추가 판정을 받았고 19건은 재검토가 필요하며 직업병 유소견자인 C1에 해당하는 근로자 9명이 개인질병인 D2로 판정되기도 했다”며 “S의과학연구소 K의원이 실시한 광주공장은 소음성 난청 판단을 받아야 하는 경우가 5건, 재검토가 필요한 건수가 4건이나 확인됐고 2차 검진 대상자 60여명이 누락됐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이에 따라 ▲검진기관에 대한 철저한 진상조사와 특수건강검진 지정병원 취소 ▲공정성 있는 검진 결과 감사기구 구성 ▲재발방지대책 마련dmf 위한 노사협상 등을 노동부와 회사측에 촉구했다.

이에 대해 회사측 관계자는 “검진기관이나 검진일정 등에 대해 노사가 합의, 실시하고 있으며 과정도 합동으로 진행하고 있어 검진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분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광명=권순경기자 skkwon@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