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말 완공 예정인 ’펄벅기념관’이 당초 건물 중심의 사업에서 공원 위주의 사업으로 수정돼 펄벅기념공원으로 조성된다.
10일 시에 따르면 당초 펄벅기념관은 국·도비 10억원, 시비 24억원 등 34억원을 들여 펄벅재단 발원지인 소사구 심곡본동 566의9 일대 부지 3천28㎡에 165㎡(50평) 규모의 전쟁고아 및 혼혈아동 수용시설인 옛 소사희망원 건물과 331㎡ 규모의 새로운 건물을 신축, 제1∼2전시실로 꾸며 펄벅여사와 관련된 기념사업을 펼칠 계획이었다.
그러나 시는 이 일대 부지가 너무 비좁고 성주산 기슭에 위치, 건물 중심의 기념사업을 펼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판단, 옛 소사희망원 건물만 개보수해 기념관 및 전시공간 등으로 활용하고 나머지 2천863㎡(917평)은 주변 자연경관을 고려한 기념공원으로 조성, 주민들의 휴식공간으로 활용키로 최종 결정했다.
이에 따라 사업비도 국·도비 5억원과 시비 16억원 등 26억원을 들여 펄벅기념관이 들어서는 기념공원으로 조성될 계획이다.
소설 ‘대지’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펄벅 여사(Pearl Sydenstricker Buck:1892∼1973)는 평소 친분을 맺어온 유한양행 설립자인 고 유일한 박사가 지난 1942년 안양으로 공장을 이전하면서 유 박사로부터 이 땅을 무상으로 기증받아 1964년 펄벅재단을 설립, 지난 1973년까지 전쟁고아와 혼혈아동 등을 위한 수용시설인 소사희망원을 운영해왔다.
시는 성주산 기슭 자연경관과 어울리는 펄벅기념공원을 조성, 펄벅기념관에 이미 확보한 펄벅 여사 관련 자료 70여점과 펄벅 인터내셔널(PSBI) 한국지부로부터 관련 자료를 기증 및 대여받은 각종 자료 등을 전시, 펄벅 여사의 박애정신을 기리고 주민들에게 인류애와 봉사정신 등을 함양하는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부천=강영백기자 kyb@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