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 각 동·면 등이 발주하는 수의계약 공사와 관련, 공사업체들로부터 제출되는 가격견저서가 형식적으로 작성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부실시공 우려를 낳고 있다.
13일 시에 따르면 매년 수로정비공사와 농로포장사업 등 3천만원 미만의 소규모 공사가 각 동·면의 포괄사업과 주민숙원사업 등으로 발주돼 올해만 100여 사업에 20여억원이 수의계약으로 발주되거나 앞으로 발주될 계획이다.
수의계약을 발주하는 각 동·면사무소 등은 계약법에 따라 2곳 이상의 공사업체들로부터 견적서를 제출받아 가격에 따라 업체를 선정해야 한다.
그러나 가격경쟁을 통해 계약자를 선정토록 한 이 규정이 지역을 연고로 활동중인 업체들의 나눠먹기식 공사관행에 따라 수주업체들을 밀어주는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다.
이같은 관행은 매년 관공서 등이 발주하는 수의계약 물량이 한정된데다 전문건설업체들이 늘면서 교류가 있는 공사업체들끼리 서로 돕는 차원에서 미뤄주기식으로 발주가 이뤄지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공사업체 관계자는 “연초만 되면 동·면사무소 등이 발주하는 공사에 대해 어느 정도 알게 돼 다른 공사업체가 공사를 먼저 수주받게 되면 경쟁이 아니라 다음을 위해 이 공사업체가 수주할 수 있도록 제시된 가격적정선에 맞춰 견적서를 작성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면사무소 직원도 “2개 공사업체 이상으로부터 견적서를 받아 업체를 선정해야 하지만 공사업체가 난립한데다 학연과 지연 등으로 수주에 매달리는 공사업체들 때문에 규정에 따라 업체를 선정하지 못하고 공사업체를 선정하고 이 공사업체를 통해 다른 공사업체의 견적서를 제출받아 발주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포괄사업은 공사규모가 적은 동·면장 재량사업으로 이같은 문제가 지적될 수 있다”며 “가격갱쟁을 통해 공사업체가 수주받을 수 있도록 지도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포=권용국기자 ykkwun@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