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와 김포대학 등이 공동으로 설립한 김포발전연구소의 연구와 조사자료들이 후속조치 미흡 등으로 시정에 접목되지 못한 채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
21일 시에 따르면 지난 98년 지역단위의 독자적 정책개발을 위해 2억원을 출자해 김포대학과 공동으로 김포발전연구발전소를 설립했다.
이 연구소는 시장과 김포대학장 등을 공동위원장으로 시청과 학계 인사 등 17명의 운영위원들과 대학교수 등으로 구성된 연구위원 등을 두고 있으며 매년 5천만원을 연구과제 수행비용으로 지원받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소는 김포 소하천 관리에 대한 기초연구 등 매년 다수의 연구결과물들을 내놓고 있지만 결과가 시정에 접목되거나 활용되는 사례가 많지 않아 자료들이 사장되고 있다.
실제로 시가 시의회에 제출한 행정사무감사자료에 따르면 이 연구소는 지난해 운영위원회에서 채택된 김포시 홍보및 자료전시를 위한 공간디자인 등 9개 과제에 대한 연구결과를 내놓았지만 이중 공직자 전화친절도 조사와 정보화대학 운영프로그램 등 4개 정도의 연구결과만 시정에 반영되는데 그쳤다.
올해도 시민생활의식 조사 및 분석 등 6개 과제에 대한 연구가 있었지만 공직자 전화친절도 평가와 정보화자격증 신설 및 활용방안 등의 결과들만 시정에 반영됐을뿐 대부분의 결과들이 시정에 반영되지 못한 채 참고자료로만 활용되고 있다.
김포발전연구소 한 연구원은 “연구원물이 활용되기 위해선 시의 후속조치가 있어야 하는데 예산과 조직 등의 문제로 제때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며 “연구과제 아이템선정과정에서 이같은 문제에 대한 충분한 검토와 논의가 먼저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연구물 대부분이 각 부서 필요에 따라 의뢰되고 있지만 예산 부족과 법률적으로 검토되야 할 문제가 많아 활용도가 높지 않은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김포=권용국기자 ykkwun@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