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경기교통 운행 정상화 ’실마리’

성남시 최대 운수회사인 경기교통이 부도에 따른 운행 중단사태가 빚어진지 1개월여만에 정상화의 실마리를 풀어 나가고 있다.

경기교통 근로자들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와 채권단 및 주주 등 이해관계자들은 지난 23일과 28일 연속해서 성남시청 대회의실에서 성남시 및 노동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정상화를 위한 대책회의를 열고 ▲퇴직금 지급보증 ▲운영자금 출연 ▲채권행사 유예를 위한 압류 해제 ▲비수익 노선 처분및 재정보조금 지원 등 그동안의 쟁점사항에 대체적으로 의견 접근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중 비대위와 채권단, 주주 등 3자는 29일 현재 마지막 남은 쟁점 사항인 재직 근로자 160여명에 대한 9월 임금 지급을 둘러 싸고 토의를 벌이고 있어 이에 대한 합의가 도출될 경우 경기교통의 정상화가 가시화될 전망이다.

지난달 27일 부도사태를 맞아 운행이 전면 중단된 경기교통은 370여명의 근로자중 200여명이 퇴직해 이들에 대한 퇴직금 지급문제와 40억원에 이르는 채권행사를 유예하는 것이 정상화의 관건으로 지적돼왔으나 최근 채권단이 채권행사 유예쪽으로 방향을 잡아가고 근로자들도 퇴직금의 선지급이 아닌 주주들의 지급보증을 요구, 잠정합의를 도출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에 주주들은 보험료와 유류비 등 운영자금 6억원을 출연, 버스 운행을 재개키로 했으며 성남시측도 어음회수 등 부도사태가 철회될 경우 7억원의 재정보조금을 지급하고 비수익노선의 처분 등을 돕기로 해 정상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비대위 김인수 위원장은 “현재 남은 쟁점은 재직중인 근로자에게 미지급된 9월 임금지급문제”라며 “이 문제만 타결되면 정상화 가닥이 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30개 노선에 386대의 버스를 운행해 성남시내 최대 운수회사로 손꼽혀 왔던 경기교통은 부도 직전 8개 노선 165대를 매각, 현재 22개 노선 221대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으나 부도에 따른 채권행사로 현재 모두 운행이 중단된 상태다.

/성남=이진행·박흥찬기자 parkhc@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