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추진중인 생활폐기물종합처리시설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를 시행하면서 소각시설만 실시한 채 일부 시설은 평가에서 제외됐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우려된다.
이는 인천시가 당초 1천245억원을 들여 연수구 동춘동 액화천연가스(LNG)인수기지 Ⅲ지구에 하루 처리용량 500t규모의 쓰레기소각장(2단계 300t 증설)이 들어설 남부광역생활폐기물 종합처리시설을 오는 2005년까지 조성할 계획이었으나 뒤늦게 재활용처리시설(하루 처리용량 150t)과 음식물자원화시설(〃200t규모) 등을 추가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30일 시흥시가 사단법인 시민환경기술센터에 의뢰한 ‘인천남부광역 생활폐기물종합처리시설 건설에 따른 시흥시 권역 피해대비 환경영향평가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시민환경기술센터 책임연구원인 대전대 김선태 교수(환경공학과)는“지난해 7월 끝난 인천시의 환경영향평가서를 검토한 결과, 쓰레기소각장에 국한해 평가를 실시하고 재활용처리시설과 음식물자원화시설 등은 대상에서 제외됐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또 “음식물자원화시설이 가동될 경우 발생할 악취영향에 대한 평가가 부족하고 시흥쪽으로 부는 서풍과 서북서풍 등 바람에 대한 영향도 충분하게 반영되지 않았다”며 “이런 결과는 관련 시설들이 건립, 가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상적으로 예측했다는 한계성은 있다”고 전제한 뒤 “저감시설 등이 완전하게 가동된다면 다이옥신 배출이나 악취문제 등을 별로 우려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인천시 관계자는 “소각장 건립에 따른 안전성과 환경적인 문제 등을 종합평가한 결과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관련 시설들을 최첨단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시흥시가 우려하는 피해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흥시 관계자는 “대기 오염 및 악취 등으로 민감할 수 밖에 없는 시화신도시 주민들이 인천 소각장이 가동될 경우 또 다른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며 “환경영향평가서를 토대로 시흥시의 의견을 인천시에 전달하고 소각시설 건설공사에도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시흥=이동희기자 dh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