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가 운동부나 엘리트체육 등과 관련된 시설을 보유한 학교 등에 대해서만 우선적으로 교육경비보조금을 지원해주고 있는 등 보조금 취지에 벗어나고 있어 교육여건에 걸맞도록 형평성 있게 교육경비보조금을 지원해줘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5일 안양시와 학부들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동안구 K여중 다목적체육관 건립비로 15억3천300만원과 교육청이 추진하는 평촌학생체육관에 16억3천200만원을 지원해주는 등 모두 37억9천600만원(공립 7개 학교 37억8천600만원·사립 1개 학교 1천만원)을 8개 학교에 지원해줬다.
또 올해에는 동안구 P중학교 야구피칭머신 구입비 600만원과 S중학교와 D고교 등의 다목적체육관 건립비 등으로 각각 11억7천200만원과 11억4천만원 등을 각각 지원해줬고 P고교의 차량구입비 5천만원을 지원해주는 등 16개 학교에 52억9천800만원(공립 15개 학교 52억8천300만원·사립 1개 학교 1천500만원)을 지원해줬다.
그러나 이같은 지원은 대부분 운동부나 엘리트체육 등과 관련된 시설을 보유한 학교에 치중되고 있어 나머지 학교들은 거의 교육경비보조금 지원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학부모 이모씨(46·안양시 만안구)는 “운동부가 있는 일부 특정 학교에만 교육경비보조금이 편중돼 지급되는 건 형평상 문제가 있다”며 “교육경비보조금이 본래의 취지에 부합되도록 제도적 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교육청이 예산을 확보하는 사업에 대해서만 시가 교육경비보조금을 지원해줄 수 있다”며 “교육경비보조금 혜택을 골고루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는 등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양=구재원기자 kjwoon@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