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내 대부분의 하수종말처리장 시설용량이 유입되는 하수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할만큼 부족, 무단 방류 의혹이 짙은데도 시가 실태조사를 제대로 실시하지 않아 물의를 빚고 있다.
특히 일부 종말처리장의 경우, 시설용량 증설이 시급한데도 시는 오염총량제가 확정되지 않았다며 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어 팔당상수원 보호에 난기류가 형성되고 있다.
5일 시와 주민들에 따르면 현재 12곳의 하수종말처리장이 설치돼 농공업용 폐수와 생활하수 등 각종 오수를 90% 이상 정화 처리해 경안천 등 팔당상수원으로 배출하고 있다.
그러나 이중 오포, 삼성, 광동리, 만선리, 매산리, 광주하수처리시설 등 6곳은 각종 하수 유입량이 시설용량을 초과하고 있다.
특히 오포하수처리시설의 경우 시설용량은 하루 7천t인 반면 유입량은 하루 7천793t(9월 1개월 평균)으로 10% 이상 유입량이 넘치고 있으며 광주 하수처리시설도 시설용량이 2만5천t인 반면 유입량은 2만6천850t에 이르고 있어 오수가 제대로 처리되지 못한 채 무단 방류됐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사정은 이런데도 시는 현장조사 한번 제대로 한적이 없는데다 환경부 등 중앙부처의 증설반대를 이유로 대책조차 수립하지 못하고 있어 상수원 보호에 적신호가 켜졌다.
이와 관련, 광주시 관계자는 “무단방류는 보고받은 적이 없으므로 그런 일은 없을것”이라며 “증설은 시급하지만 오염총량제가 확정되지 않아 증설 자체가 불투명하다”고 밝혔다.
한편 환경부는 광주시의 오염배출량을 현재보다 줄여 상수원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오염원이 증가할 수 있는 하수처리시설 증설에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이진행·박흥찬기자 parkhc@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