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패트롤/영동고속도 서안산IC 임시요금소수도권패트롤/영동고속도 서안산IC 임시요금소

영동고속도로 서안산IC 일대가 매일 되풀이되는 교통체증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주민과 한국도로공사(이하 돋공)가 요금소 위치문제를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팽팽하게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도공은 영동고속도로 신갈∼안산구간 23.2㎞ 확장공사를 마치고 지난해 5월 개통과 함께 서안산IC에 임시요금소 8개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하루 평균통행량이 4만5천여대에 이르는 서안산IC는 시화·반월공단에서 산업물품을 실어 나르는 화물차량과 출퇴근차량이 몰리는 시간대는 교통지옥이나 다름없을 정도로 큰 혼잡을 빚고 있다.

이때문에 엄청난 경제·사회적 손실이 초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서안산IC의 8개 요금소로는 이같은 차량 통행량을 수용하기엔 역부족이다.

이에 따라 도공은 현재의 임시요금소가 고속도로 본선과 인접해 교통의 흐름을 방해, 체증이 유발된다고 보고 요금소의 위치 변경을 추진했다.

도공은 200여억원을 들여 시흥시 거모동 산 6의1 일대에 길이 1.22㎞ 14차선 규모(상행 8차선 하행 6차선)로 서안산IC 확장을 추진했으나 주민들의 반발로 착공도 하지 못하고 있다.

주민들은 현재 임시요금소를 계속 사용하면서 국도 39호에서 서안산IC로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면 된다고 주장하며 요금소 위치 변경에 대해 강력하게 반대하고 방음벽 설치 등을 요구하고 있다.

도공 관계자는 “현재의 임시요금소는 본 도로와 인접한 부적합한 곳에 설치돼 통행량을 수용할 수 없어 체증이 유발되고 있다”며 “전문기관에 기술용역과 교통분석 등을 의뢰한 결과 도로공사가 계획한 곳으로 요금소를 옮기는 방안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시흥=이동희기자 dh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