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정 두 후보의 단일화 문제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물론 한나라당이 중앙선관위에 제기한 유권해석의 결과가 주목되긴 한다. 특정인 낙선을 목적으로 하는 두 후보만의 텔레비전 토론 및 특정후보 편향의 여론조사가 선거법에 위반된다는 게 한나라당의 주장이다. 이에 대한 위법여부는 유권해석을 더 들어봐야 하겠으나 후보 단일화를 ‘야합’으로 매도하는 것은 옳치 않다.
한나라당은 한국미래연합과 협력관계를 모색하고 있다. 비록 이 당이 후보를 내진 않았으나 박근혜 대표에게 총리자리까지 제의했다. 다른 정당의 연대는 야합이고 자기 당의 타당 연대는 정도라고 해선 설득력이 없다.
민주당과 국민통합21의 단일화 논의는 정몽준 후보가 일반국민과 대의원 상대의 여론조사안을 철회, 노무현 후보의 일반국민 여론조사 주장을 전격 수용함으로써 일단 타결이 됐으나 결과는 여전히 미지수다. 다만 두 후보가 다 대북관계만은 이 정부와 마찬가지로 상호주의를 배제하는 유화정책을 쓸 것으로 보는 하나의 공통점은 인정된다.
그러나 이밖의 객관적 성향은 판이하다. 우선 노 후보는 진보인데 비해 정 후보는 보수이다. 정치 역정의 배경 또한 서로가 다르다. 경제, 사회복지, 교육문화 등 국내정책과 외교정책에 합치될 수 없는 인식의 격차가 심하다. 이런 후보끼리의 단일화가 과연 성공할 수 있을 것인지 의심스럽다. 왜냐하면 대통령에 당선이 되든 안되든 후보를 안내는 쪽은 자멸할 수 밖에 없는 것이 양당의 입장이기 때문이다. 물론 말로는 지금 여론조사 결과에 절대로 승복한다고 한다. 그러나 이는 민주당이나 국민통합21이나 다 자기쪽으로 단일화 될 것으로 보는 전제속에서 하는 소리다. 감히 자기쪽이 상대의 단일화에 흡수되진 않을 것으로 아는 두 후보끼리 어떤 결과가 나왔을 때, 정말 이의를 달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기는 매우 어렵다.
이의를 잡을 꼬투리는 얼마든지 있다. 토론의 불공정, 여론조사의 신뢰도 등 이밖에도 허다하다. 게임내용이 부당했기 때문에 결과에 승복할 수 없다는 구실은 찾으려면 얼마든지 찾을 수가 있을 것이다.
두 후보의 단일화가 중앙선관위의 유권해석에 고비를 넘긴다 해도 과연 이같은 불신의 암초에 좌초되지 않고 끝까지 순항할 것인지 크게 주목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