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지역의 읍·면사무소가 주민자치센터로 전환되면서 공무원수도 감소돼 주민들이 민원업무를 보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
18일 여주군과 주민들에 따르면 이 지역 행정편제가 1읍·9면으로 경지면적도 607㎢로 다른 시·군보다 농업규모가 커 경기도에서 농업군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사정은 이런데도 정부정책으로 읍·면사무소가 획일적으로 주민자치센터로 전환되면서 공무원이 줄어 주민들은 단순업무을 처리하려고 해도 10∼30㎞거리에 위치한 군청을 찾아야 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한해나 수해 등의 천재지변이 발생할 경우, 그동안은 최일선 민원행정기관인 읍·면사무소의 신속한 대처로 해결해 왔으나 줄어든 공무원 인력으로 이마저도 요원한 실정이다.
실제로 시험단계인 현재의 경우 읍·면사무소 업무가 50% 정도 군청으로 이관되면서 산북면과 강천면 등 오지 주민들은 민원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소요하고 있는등 경제적인 부담까지 안고 있다.
주민 박모씨(40·여주군 가남면 심석리)는 “그동안 가남면사무소 공무원이 30여명에 달했었으나 현재는 10여명이 줄어 17명이 근무, 농촌 주민들이 민원 해결에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농촌지역에는 주민자치센터가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행정자치부의 지침에 따라 읍·면사무소가 주민자치센터로 전환되면서 공무원도 줄엇다”며 “기회가 있을 때마다 이같은 실정을 중앙에 건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주=류진동기자 jdyu@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