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고양 주거지역 용적률 하향

고양시내 주거지역 용적률이 도시관리차원에서 대부분 하향 조정될 전망이다.20일 시에 따르면 전체 주거지역 18.84㎢를 대상으로 전용주거는 제1∼2종, 일반주거는 제1∼3종으로 각각 종별 세분화, 용적률을 대부분 하향 조정할 계획이다.

시는 전체 주거지역 가운데 일산신도시, 화정지구 등 택지지구 11.17㎢는 연말까지 지구단위계획에 이를 반영하고 원당, 능곡, (본)일산, 관산, 고양, 토당 등 구시가지 6개 지역 6.67㎢는 내년 상반기 종별 세분화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다.

시는 이를 위해 다음달 전문기관에 구시가지 주거지역 종별 세분화 용역을 발주, 내년 3월 계획안을 확정한 뒤 시 도시계획위원회와 시의회 등의 의견청취를 거쳐 내년 6월말까지 경기도의 최종 승인을 받을 방침이다.

종별 세분화에는 학교, 도로, 상하수도 등 도시기반시설 확충 상태나 계획 유무, 인접 지역 개발상태, 개발 밀도 등이 주요 기준으로 적용된다.

종별 세분화가 이뤄지면 전용주거지역 용적률은 기존 150%에서 제1종은 100%, 제2종은 150%로 낮아지거나 유지되고 일반주거지역 용적률은 기존 300%에서 제1종 200%, 제2종 250%, 제3종 280%로 각각 하향 조정된다.

이번 종별 세분화로 택지지구 지역은 큰 영향이 없지만 특히 일반주거지역 제1종 지역은 용적률 하향에 따른 사업성 미확보로 재건축을 통한 아파트 건립이 사실상 불가능해지는 등 구시가지 지역은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시 관계자는 “주거지역 종별 세분화 추진은 주로 구시가지 지역의 과잉 개발 및 난개발을 막고 효율적인 도시관리를 위한 조처”라며 “가능한 빠르게 진행,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양=한상봉기자 sbhan@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