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단체장 끌어들일 생각말라

오늘부터 제16대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한 공식 선거운동에 들어간다. 12월19일 투표가 실시될 하루 전인 18일까지 22일간의 치열한 선거 열전이 예상된다. 부패청산을 표방하는 한나라당 이회창과 개혁정치를 내세우는 민주당 노무현, 노무현의 진보성향 대 이회창의 보수성향으로 압축된 두 후보의 양강구도는, 그 어느 때보다 극심한 건곤일척의 격전을 벌일 것으로 전망하기가 어렵지 않다.

과열 선거운동이 반드시 타락선거인 것은 아니지만 공명선거를 해칠 요인은 다분하다. 따라서 선거운동의 과열을 우려하는 것은 타락선거를 우려해서다. 이런 가운데 공명선거를 위해 경계해야 할 일은 많으나 가장 배격해야 하는 것이 관권선거다. 이미 중앙에서도 수차 관권의 엄정 중립을 거듭 강조한바가 있고 지방 역시 마찬가지이다. 각급 지방자치단체장들은 자신의 소속 정당을 초월, 엄정한 중립 의지를 굳힌 것으로 안다. 이런데도 불구하고 지방선대위 등 정치권이 소속 정당의 자치단체장들에게 대선과 관련, 안달을 부리는 것으로 들린다.

심지어는 어떤 도움의 요청을 거절당하고는 거절한 단체장을 원망하는 정치인도 있다. 민주당이 건 한나라당이 건 간에 소속 자치단체장들이 자신의 직분을 성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가만 놔두는 게 당을 돕는 참다운 길임을 명심해야 한다. 시대 또한 예전같지 않아 지방관권이 특정 후보를 위한 선거운동 개입이 통하는 시기가 아니다. 자치단체장이 공연히 선거운동에 개입했다가 말썽이 나면 이처럼 참담한 게 또 없다.

지방선대위의 정치권이 소속 단체장들에게 무슨 도움을 바라는 것은 결코 선거를 위한다 할 수 없다. 되레 선거를 망친다는 사실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 아직도 시대를 인식하지 못하는 구태의연한 이런 정치인이 있는 것은 참으로 유감이다. 추호의 관권선거도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선거운동에 참여하는 정치인들은 대선 기간동안엔 행여 소속 자치단체장 곁에 다가 갈 생각도 말아야 한다. 괜한 오해를 사기가 십상이기 때문이다.

이번 대선 또한 수도권이 최대 승부처로 꼽혀 주목받고 있다. 각 후보의 집중공략이 불을 뿜을 것이다. 각급 자치단체장들은 엄정 중립 의지를 초지일관하여 유종의 미를 거두는 대선기간이 되길 간곡히 당부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