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패트롤/김포 쌀밥집 지정제

김포시가 ‘김포쌀’경쟁력 강화를 위해 일반 대중음식점 등을 대상으로 시행에 들어간 김포쌀밥집 지정제가 대상 업소만 지정한 채 후속대책과 사후관리 미흡 등으로 겉돌고 있다.

시에 따르면 김포쌀밥집 지정제가 김포쌀 홍보를 위해 지난 2000년 9월부터 쌀 소비가 많은 대형 식당 등을 대상으로 김포쌀 생산농가와 직접 연계해 소비되는 쌀 전량을 김포쌀만 취급하는 조건으로 지정에 들어가 현재까지 시 관내 9곳과 서울 3곳 등 모두 13곳의 식당을 김포쌀밥집으로 지정했다.

그러나 지난해 9월 포천군의 한 식당이 마지막으로 김포쌀밥집으로 지정됐을뿐 1년이 지나도록 추가로 김포쌀밥집으로 지정된 식당이 없는데다 기존에 지정된 식당도 업주가 바뀌면서 김포쌀을 사용하지 않는 업소가 늘어 당초 사업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

이는 업소만 지정됐을뿐 사후관리가 전혀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데다 관리체계가 보건소와 농산유통계 등으로 이원화됐고 지정된 업소에 대한 인센티브도 전혀 없어 식당들이 김포쌀밥집 지정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식당을 운영하는 서모씨(45·김포시 사우동)는 “다른 지역 쌀값보다 김포쌀값이 비싼 상태에서 김포쌀밥집으로 지정되고도 아무런 지원이 없다면 굳이 김포쌀밥집으로 지정받을 이유가 없는 게 아니냐”며 “김포쌀밥집 지정에 대한 의미를 두기 위해선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의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내년부터는 김포쌀밥집으로 지정된 업소에 대해 간판제작비를 지원하고 매체를 통해 업소를 홍보하는 등 지원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포=권용국기자 ykkwun@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