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250억대 배수지 추진 ’논란’

<속보>고양시 상수도사업소가 지난 20년간 발주한 공사를 T업체가 독식한 배경에 대해 의혹이 일고 있는 가운데(본보 8월1일자 17면과 11월25일자 17면 보도) 최근 상수도사업소가 꼭 필요하지도 않은 대형 배수지 건설공사를 추진, 논란이 일고 있다.

5일 고양시 상수도사업소에 따르면 국제전시장, 숙박단지 등 대형 시설들이 잇따라 들어설 계획이어서 오는 2011년께는 상수도가 부족할 것으로 판단, 250억원을 들여 오는 2004년 12월까지 일산구 탄현동에 용량 3만t 규모의 배수지를 신설할 계획이다.

그러나 상수도사업소는 지난해 12월 시의회에 제출한 행정사무감사 자료에서 “서울시가 반납한 수도권 1단계 상수원 65만t중 8만9천t을 받으면 고양시의 총 상수도용량이 52만2천t으로 늘어 인구가 100만명 이상 급증해도 시 전역에 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고 밝혔었다.

특히 상수도사업소가 배수지 건설을 위해 H공사와 H엔지니어링 등에 용역을 의뢰한 ‘일산지역 상수도 확장공사(배수지 건설) 기본 및 실시설계’핵심내용이 배수지 추가 건설 명분을 강조하기 위해 사문화된 구형 자료가 사용됐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두 업체는 용역 중간보고서에서 지난해 현재 고양시의 1인당 하루평균 급수량은 293(단위 ℓpcd)으로 수원(405), 안양(382), 부천(405), 의왕(345) 등보다 적은 것으로 표기했으나 확인 결과, 수치를 인용한 출처가 동일하지 않아 비교 대상이 될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수원시는 물을 많이 사용하는 삼성전자 등 대기업 생산공장과 20여개 대학들이 밀집해 있고 유동인구가 월등히 많아 평균 급수량이 당연히 높을 수 밖에 없어 단순 비교대상이 아니란 지적을 받고 있다.

안산과 안양시 역시 가정용 상수도 사용량 비율이 30∼45%로 고양시(75%)의 절반수준인 반면 영업용과 공업용 비율은 2배 안팎으로 훨씬 높아 급수량이 많을 수 밖에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양=한상봉기자 sbhan@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