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의 공업지역 활성화를 위해선 지난 80년 이전에 건축된 공장밀집지역과 구획정리가 되지 않은 도당동, 춘의동, 오정동, 신흥동 등 일부 지역은 재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준공업지역인 춘의동지역은 주거지역으로 용도를 변경하며 자연녹지지역은 대체부지로 확보해 대규모 비도시형 공장을 이전시키고 주거지역화된 춘의동 일부 지역은 아파트형 공장을 건설, 첨단 도시형 업종을 유치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부천상공회의소(이하 상의)가 지난 12일 오후 상의 4층 대강당에서 마련한 제9차 부천지역경제발전 심포지움에서 경기개발연구원 지식산업연구부 김군수, 문미성 박사 등은 ‘부천시 기존 공업지역의 재정비 방안’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이처럼 밝혔다.
김 박사 등은 또 “일본 오사카의 도시산업지구와 환경개선에 중점을 둔 영국 버밍햄의 수복형 재개발방식인 공업개선지구 등의 공업지역 정비와 관련된 성공사례를 통해 공업지역 재정비를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박사 등은 이어 “공장 재개발구역의 경우, 도시계획법상 지구단위계획을 적용, 용적률을 상향 조정하고 순환재정비 방식 도입과 공장 이전 적지 정비사업 추진, 공업정비지구 도입 등이 요구되고 공장재건축구역의 경우는 주로 아파트형 공장을 건립하되 시에 재개발 전담조직인 개발공사를 둬 아트형공장의 공급량을 결정, 주(住)·공(工) 혼재지역의 공장 등을 우선 이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박사사 등은 이와 함께 “분재정비구역의 경우는 주차장 확보 및 도로 확충 등 기반시설 확보에 역점을 두고 주(住)·공(工)·상(商) 기능이 복합적으로 혼합된 준공업지역을 동일지역에서 저층부는 공장, 고층부는 주거기능을 둬 주공이 하나의 커뮤니티를 이루도록 개발을 유도하는 주공혼합개발방식을 도입,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 관계자는 “공장용지가 절대 부족한 현실에서 주거와 공장 등이 혼재된 공업지역의 재정비를 위해선 아파트형 공장 건립을 통한 효율적인 토지이용계획이 무엇보다 선행돼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줬다”고 말했다.
/부천=강영백기자 kyb@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