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부천시 등이 외자 유치로 추진중인 음식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 자원화시설이 외자유치 계약 당사자인 미국 GBT사가 파산 위기에 직면하면서 추진여부가 불투명해지고 있다.
13일 경기도와 부천시, 시의회 등에 따르면 부천 음식물쓰레기 자원화시설사업의 투자 책임을 맡고 있는 미국 GBT사가 투자자의 투자금 일부를 유용 및 횡령한 사실이 밝혀져 소송에 휘말리면서 중대 고비를 맞고 있다.
이때문에 시가 시의회에 상정한 계약자 변경동의안이 통과되지 않을 경우 사업추진이 전면 백지화될 전망이어서 그동안의 외자 유치에 매달려온 도와 시간의 책임소재 논란도 우려된다.
도는 지난 98년말부터 IMF한파 극복에 따른 5천만달러의 외자를 유치, 오정구 대장동 607 일대 소각장 예비부지인 6천350여㎡(1천920여평)에 세계 최대 규모인 하루 2천t의 음식물쓰레기를 처리, 자원화하는 최첨단 무공해 처리시설을 건립하기로 했다.
그러나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초기 투자파트너로 1년여간 협상을 끌어온 미국 유니신(Uniyn)사가 부천시의 요구조건을 수용하지 못해 새 투자자로 미국 GBT사가 선정돼 지난 2000년 10월 시와 사업계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당시 시외회와 시민·환경단체들이 기술공법 검증 미비, 하루 2천t의 음식물쓰레기량 확보 불투명 등 타당성 여부에 이의를 제기하며 반발하자 하루 처리용량 800t으로 축소시키는 등 시설에 대한 검증을 거친 후 건립한다는 조건으로 보충계약을 체결하고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같은 우여곡절을 거치면서 내년 3월까지 5t짜리 파이로트 플랜트(Pilot Plant) 설치를 완료, 3개월간 운영해 검증은 거친 뒤 200t짜리 Pilot Plant 4기를 설치키로 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해왔으나 사업시행사의 변경이라는 악재가 또 터지면서 사업 자체의 신뢰성까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도와 시는 “GBT사가 계약 이행을 할 수 없는 처지에 놓인 건 사실이지만 GBT사에 투자했던 기본 투자자들은 변함이 없고 기존 계약조건도 모두 수용한 상태에서 다른 건전한 회사를 통해 추가 투자를 계속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사업추진에는 어려움이 없다”고 밝혔다.
도 투자진흥과 관계자는 “GBT사에 50만달러를 투자한 대주주가 신규 투자자인 PMC사를 통해 250만달러를 추가 투자한다는 입장이고 PMC사도 이미 공증서를 보내왔다”며 “계약자 변경만 이뤄지면 당초 자원화시설 건립에 따른 기술 개발과 설계를 맡았던 CH2M HILL사가 제작, 선적을 대기중인 5t규모의 Pilot Plant를 들여올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이날 계약자 변경동의(안)을 시의회에 상정, 처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부천=강영백기자 kyb@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