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명선거 끝까지 지켜야

제16대 대통령 선거가 이틀후면 실시된다. 선거운동은 내일 자정까지 할 수 있기 때문에 후보자나 각 정당 관계자들은 최후까지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기 위하여 최선을 다할 것이다. 어제 저녁 마지막으로 개최된 TV합동 토론은 어느 때보다 많은 유권자들의 관심을 이끌었다. 이는 아직도 많은 유권자들이 후보자들의 선택에 고민을 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일부 언론 보도에 의하면 각 정당이 부동층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막판 대규모의 금품살포나 또는 흑색선전이 무차별적으로 있을 지 모른다고 한다. 특히 양강 구도로 짜여진 현재 선거구도는 어느 때보다 박빙이 예상되고 있기 때문에 단 몇표라도 더 얻기 위한 금품공세나 근거 없는 흑색선전이 우려되고 있다. 대권을 눈앞에 둔 후보자나 정당이 선거에 이기기 위하여 무슨 수단이든 동원하고 싶은 유혹을 물리치기 어려울 것이다.

과거 대통령 선거에 비하여 금권이나 관권 개입이 현저하게 줄어든 것으로 보는 일반적인 인식은 선거문화의 발전을 위하여 다행스럽다. 과거와 같은 버스 동원을 통한 대규모 관중 동원도 거의 찾아보기 힘들고, 오히려 음식점에 평소보다 손님이 적어 울상을 지을 정도로 선거문화가 변화된 것을 실감할 수 있다. 물론 아직도 일부 지역에서는 유권자들을 상대로 향응을 베풀고 있기는 하나 과거와 같은 우려할 수준은 아닌 것 같다.

마지막까지 선관위나 유권자가 감시를 해야 할 부분은 금품살포이다. 이번 대선유권자연대에서 각 후보들로부터 대선자금 공개서약을 받아 벌써 두차례에 걸쳐 실사를 했다. 일부 비용을 누락시키고 또는 중요 장부를 공개하지 않아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지만 서약까지 한 정당이 막판 금품살포를 한다면 이는 도저히 용서할 수 없다. 유권자들은 절대 향응이나 금품을 받지 말고 불법선거운동을 발견하면 즉각 고발해야 한다.

흑색선전 역시 마찬가지이다. 유권자들이 바라던 정책대결이 제대로 되지 못한 아쉬움이 있기는 하지만 3차례 걸쳐 TV토론에서 상당한 정책차이를 보이고 있다. 끝까지 정책으로 대결하지 않고 악성 루머나 흑색선전을 하는 후보자나 정당에겐 투표하지 않음으로써 엄정한 유권자의 힘을 보여 주어야 한다. 미디어 선거를 통한 새로운 정책대결의 선거문화가 정착되도록 후보자 정당 선거운동원, 그리고 유권자 모두 마지막까지 공명선거 실시에 노력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