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이후 나타난 민주·한나라 양당의 두드러진 현상 가운데 지도부 교체의 진통을 들수가 있다. 민주당은 대선에서 승리한 대로, 한나라당은 대선에서 패배한 대로 다 그 명분이 있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의 진통에 대해 언급하고자 하는 것은 집권당이고 또 한나라당에 대해서는 이미 진로를 밝힌바가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이 비록 정권 재창출에 성공은 했지만 제도 개혁이든, 인적 청산이든 지도부 교체가 불가피한 것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다. 민주당의 안방 살림에 본란이 관여할 일은 아니지만 객관적 판단이 이러하다.
한화갑 대표를 비롯한 민주당의 구 주류에 궁금한 것이 있다. 대선 이전, 노무현 후보가 당선되면 민주당이 달라져야 할 것을 진정 몰랐느냐 하는 것이다. 본란은 일찍이 오늘과 같은 사태를 수차 예고하였다. 그리고 현실화하고 있다.
노 당선자가 당 지도부 재편에 직접 개입하지 않는다 하여도 정치개혁을 의도하는 당선자의 시사로 보기엔 충분하다. 만약 이를 계기로 한 대표 등 구 주류가 당을 일탈한다면 가뜩이나 여소야대의 국회에서 노 당선자는 취임 이후의 국정 운영에 더욱 부담을 갖게될 것이다. 하지만 이런 부담을 각오하고 재편의 시사를 강행한다면 이 또한 당선자 권리의 몫이다. 비록 당정이 분리됐다고는 하나 대세가 그렇게 돌아간다.
구주류 세력이 오늘과 같은 당내 사태를 거부하고자 한다면 진즉 했어야 할 일이다. 대선 이전의 반노·비노의 소용돌이가 있었을 적에 좀더 태도를 분명히 했어야 했다. 그러지 않고 기회주의적으로 처신하다가 지금에 와서 노후보의 승리를 구실삼아 지도부 재편을 성토하는 것은 공허하다.
물론 지도부의 물갈이를 서두르는 친노세력의 우격다짐이 성급하다는 생각엔 동의한다. 그러나 어차피 물갈이가 있어야 한다면 형식이 큰 문제일 순 없다. 한 대표 등이 진실로 자리에 연연하지 않는다면 털고 내주는 것이 순리다. 물러나는데 조만간의 차이가 능사일 수는 없다.
모든 것엔 시기란 게 있다. 정치 세계의 생리적 현상은 더욱 그렇다. 현 지도부가 퇴진, 평당원으로 백의종군하다가 보면 또 권토중래할 기회가 있을 수 있는 것이 정치 세계다. 물러날 때와 나아갈 때를 구분할 줄 아는 형안을 민주당의 현 지도부에 당부하고 싶다. 물러날 땐 깨끗이 물러나야 들어서는 것도 깨끗할 수가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