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벽두, 북측에 당부한다

북 언론의 신년 공동사설을 두가지 면에서 주목한다. 그 하나는 체제의 결속 다짐이고 또 하나는 대남, 대미비방이 긴장 국면에 비해선 상대적으로 덜한 점이다. ‘공화국 창건 55돌을 맞는 올해에 선군의 위력으로 위대한 승리를 이룩하자’고 한 강성대국 건설의 기치는 휴전협정 50돌에 즈음하고, ‘체제수호 경제부흥’의 다짐은 정권수립 55돌을 맞는 결의 표명으로 해석된다.

우리는 북측 ‘공화국’의 체제가 어떻든, 또 생존방법이 어떻든 간에 그런 것을 간여할 생각은 없다. 당장 통일을 이룰 수 없는 남북간의 이질요소가 불가피한 가운데나마 평화가 정착돼 교류가 활성화하고, ‘공화국 정권’이 국제사회에서 고립되지 않기를 충심으로 바라는 것이 일관된 우리의 생각이다.

그러나 이러한 민족적 염원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유감스럽게도 달리 나가고 있다. 핵 개발 시인 이후 강경 일변도의 숨가쁜 북측 입장 변화는 마침내 핵 재처리 직전 단계까지 이르러 국제사회의 우려가 높다. 우리의 입장 역시 같다. 그렇다 하여 이른바 미국의 부시가 말하는 맞춤형 전면 봉쇄에 동의할 이유가 있다고는 판단하지 않는다. 우리는 그같은 패권주의 자체를 거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북측의 강성 지향이 과연 남북 동포들에게 진정 도움이 될 것인지를 검토해야 한다면 바로 지금이 아닌가 한다.

우리는 미국의 일방적 대북방침을 공조의 조율로 동의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북의 핵 재처리 역시 실행에 들어가지 않기를 바란다. 핵 문제로 인한 긴장고조를 진정 평화적으로 해결하고자 한다면 남측의 중재에 귀를 여는 민족적 안목의 개안이 있어야 한다고 믿는다. 북·미간이든 남·북간이든 우리 민족에게 다시는 전쟁의 참화가 되풀이 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가 보도한 철도·도로 연결 사업에 대한 평가는 고무적이다. ‘올해는 북·남철도 도로 연결공사가 구체적인 결실을 보게돼 신의주와 서울을 잇는 서해선이 완공될 예정’이라면서 장차 이루어질 조선반도 종단철도(TKR) 그리고 시베리아 횡단철도(TSR)의 연결은 “지역정세의 새로운 발전을 예고한다”고 했다. 우리의 기대 역시 이에 다르지 않다. 북측 역시 다름이 없을 것으로 안다. 그렇다면 교착상태에 빠진 핵 문제를 푸는데 무엇이 또 다른 방법인가의 고려가 필요하다. 북·미간의 접근을 위해선 그 어느 쪽도 일방적 요구에 치우쳐서는 안된다. 우리는 미국을 견제하면서 북측 또한 미국이 대화를 위해 바라는 최소한의 물꼬가 무엇인가를 헤아리는 자주적 지혜가 있기를 기대하고자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