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민주당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 시민단체에 대한 관심이 정치권은 물론 관료, 그리고 일반시민들로부터 커지고 있다.한국은 비록 짧은 시민운동의 역사이지만 그 동안 정치개혁, 경제정의, 환경보존, 소비자보호 등 각종 정치, 경제, 사회 등 여러 분야에서 건전한 사회발전을 위하여 시민단체들은 괄목한 활동을 하였으며, 앞으로도 이들 시민단체들의 영향력은 계속 확대될 것이다.
최근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 인수위원회 고위급 인사에 무려 20%정도가 시민단체에서 활동하던 교수들이나 시민운동가들이 등용되어 더욱 시민단체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특히 지난 월요일 개최된 시민단체 신년하례회에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가 직접 참석하여 시민사회운동은 우리사회를 이끄는 중심이라고 하면서, 대통령 당선자 자신이 시민운동이 있었기에 대선에서 승리했다고 할 정도이니 신정부 정책결정에 있어 시민단체의 힘은 더욱 커질 것이다.
참여민주주의를 근간으로 하여 시밈들의 정치참여 확대를 추구하고 있는 노무현 차기정부는 각종 정책입안 과정은 물론 시행과정에서도 시민단체의 참여 폭을 확대할 예정이다. 인수위에 국민참여 센터를 설치하여 폭넓은 시민여론을 수렴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고위공직자 추천까지도 시민들이 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자발적 정치참여를 유도한다는 측면에서 새로운 시민정치 실험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 이런 시민단체의 영향력 증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시민단체의 영향력이 확대되면 될수록 더욱 단체 스스로의 운동 방향과 목표 설정, 그리고 도덕성을 유지해야 한다. 지나친 세확대를 통해 정치세력화 하는 것은 건전한 시민사회발전을 위하여 자제해야 한다. 시민단체는 정치를 현장에서 담당하는 정당과는 다르다.
최근 경기도의회에서도 건전한 시민운동을 매도한 도의원이 잘못을 사과까지 한 사례가 있는데, 이런 것에 시민단체가 오만해서는 안된다. 김대중 정부에서도 시민단체가 지나치게 정부와 밀착하여 심지어 홍위병이란 비판까지 받은 경우도 있었음을 명심하여 시민단체 스스로 자세를 낮추어 시민과 함께하는 운동을 해야 진정으로 시민들로부터 사랑 받는 시민단체가 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