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고속철 역사 건설 '제2도약 계기로'

광명시의 새해는 여러가지로 극복해야 할 난제들이 많다.

매년 40% 이상의 인구이동으로 정주의식이 희박한 점이 그렇고 전체면적(38.5㎢)의 76.1%인 29.9㎢가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발전의 제약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는 점도 그렇다.

이에 따라 시는 인구 35만명의 광명을 살고 싶은 도시, 일터·배움터·쉼터가 충분한 재정자립도 100%의 자족도시, 교육문화도시,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한 녹색환경도시, 주민이 참여하는 건강한 도시 등으로 만들기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하기로 했다.

시는 내년 4월 개통예정인 경부고속철도와 인천국제공항의 입지적 특성을 고려, 호텔, 정보 및 업무센터, 도심공항 및 고속버스터미널, 물류센터 등의 첨단시설이 완비된 국제교류지구와 음반산업벤처기업 및 지원센터 등의 첨단음악산업테마파크, 지하 폐광산을 활용한 생태환경공원지구 등 3대 핵심지구 건설을 통해 도시의 이미지를 21세기 수도권 제일의 인적, 물적 정보교류의 중심도시로 탈바꿈할 계획이다.

시는 또 자립도시로의 기반 구축을 위해 서울 송파구의 경륜장을 유치하고 지방세수의 획기적 증대와 지역상권의 매출 신장 및 고용창출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주민들이 가족단위로 즐길 수 있는 건전한 레저공간을 조성할 방침이다.

고속철도 광명역사 건설에 따라 광명로∼광명역간 이외 1개 구간 도로 개설공사와 고속철도 광명역 연계도로 개설, 서독로 및 가학로의 확장공사 등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돔 경륜장과 관련, 소하동 가리대~부천시계간 도로개설공사에 1천577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할 예정이며 경륜장 우회도로(목감천변)에 100억원을 투입, 교통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키로 했다.

평균수명 증가에 따른 인구의 고령화 등으로 급증하는 복지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자치단체로는 전국 최초로 건립, 운영중인 노인전문요양센터(치매센터)의 기능을 적극 활용, 재가노인은 물론 만성질환자 및 노약자 등을 위해 방문보건사업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광명=

권순경기자 skkwon@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