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들의 당적 바꾸기 탐색보도는 염량세태의 극치를 보는 것 같다. 한동안은 한나라당 입당사태를 빚더니, 이제는 민주당 입당을 위한 물밑 접촉이 활발하다는 것이다. 이같은 당적 바꾸기가 소신에 의한 것인지 또는 출세를 위한 것인지, 정당 선택의 자유에 속한 것인지 아니면 정당을 도구화하려는 것인지는 누구보다 스스로가 더 잘 알 것이다.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의 최대 정치적 강점은 불굴의 지조다. 한나라당으로 말을 갈아타면 부산에서 능히 국회의원에 당선될 수 있었음에도, 우정 유리한 서울 선거구를 버리고 부산 선거구를 민주당 간판으로 패배를 감수해가며 지켰다.
국회의 실물정치와는 달리 단체장이나 지방의원의 정당은 상징성이 높은 특유의 환경에서 이당 저당으로 왔다갔다 하는 그들이 민주당에 간들 어떤 대접을 받고, 선거구민이 어떻게 생각할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있다. 염량세태를 쫓는 것보다는 본연의 자기 일에 열중하는 것이 더 유익하다는 사실이다. 정당의 구체적 간섭이 배제되는 지방자치에서 단체장이나 지방의원이 여당이든 야당이든 사실상 별 상관이 없다. 그보다는 단체장 또는 지방의원 자신의 역량이 곧 성가로 평가된다. 흔히 일을 원활히 하기 위해 여당행을 선택한다고 하나 그것은 측면적 구실일 뿐이다.
정치사회개혁은 제도개선에 앞서 의식개혁이 선행돼야 한다. 지방자치에서 이당 저당으로 밥먹듯 옮겨다니는 게 과연 개혁에 합당한 의식이라 할 수 있을 것인지 의문이다. 비겁한 동료보다는 정정당당한 적이 오히려 친구다. 배신을 일삼는 사람이 오늘은 비록 같은 당에 있다하여 진정한 동지로 알기는 어렵다.
중앙정치에서도 이런 터에 지방자치에서는 더 말 할 것이 없다. 노무현 당선자는 공무원들에게 “생색내고 얼굴 열심히 내민 사람보다 자기 일에 정통한 사람이 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자치단체장이나 지방의원도 역시 마찬가지다. 대체로 일도 제대로 못한 사람일수록이 처세주의에 흐른다.
반대로 직책과 직무에 확신을 갖는 사람은 처세를 크게 개의치 않는다. 처세 지향주의자들이 어떤 사람들인가를 두고 지켜보고자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