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래 이상한 소문이 지역세간에 퍼졌다. 화성에서 북의 남침용 땅굴이 발견됐다는 것이다. 구랍에 시작된 이같은 소문은 잠잠해지는가 싶더니 또 다시 번지고 있다. 땅굴이 발견됐는데도 당국의 보도관제로 언론이 다루지 못한다는 헛소문까지 나도는 실정이다. 소문은 세간의 ‘하(카)더라 통신’으로 급속히 퍼지면서 전쟁 위기의 막연한 공포감까지 확산되고 있다.
어제 본지에 보도된 ‘화성 땅굴 진실은…’제하의 기사는 그같은 소문이 사실이 아닌 것은 일깨웠다. 그러나 ‘사실무근’이라는 보도에도 잘 진정되지 않은데 문제가 있다. 문제의 땅굴이란 것은 화성시 매송면 원평리에 있다. 폭 15m에 깊이가 10m 규모일뿐 길이가 얼마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 장소는 휴전선에서 60km 거리다. 또 서해안 해저에서 땅굴을 파려면 각도를 유지해야 하기때문에 해저 깊이에서 파기 시작해야 한다. 이때문에 남침용 땅굴로 보기엔 현실성이 없다는 국방부측 견해를 인정한다. 그러나 현지에 ‘남침용 땅굴 현장’이라는 플래카드가 걸려있고, 플래카드를 건 것은 ‘남침 땅굴을 찾는 사람들’이라고 밝힌 민간단체 이름으로 돼있다.
괴이한 것은 관계당국의 미온적 대응이다. 짐작컨대 남침용 땅굴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을 걸로 판단된다. 남침용 땅굴이 아닌데도 남침용 땅굴로 우긴다면 플래카드를 철거하는 등 마땅히 후속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만약 미심한데가 있으면 철저한 확인작업이 있든지 해야 하는 것이다. 일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관계당국의 그 어느 곳을 막론하고 모두 그대로 방관만 하고 있다. 이러다 보니 이런저런 소문이 안날 수 없고 소문은 결국 유언비어처럼 번져가고 있다.
이 또한 당국의 안보 불감증이다. 문제의 땅굴이 남침용인데도 방치한다는 게 아니다. 민심이 심히 불안해 하는데도 불안요인 제거에 신경쓰지 않고 외면하는것부터가 소임에 위배되는 사실임을 지적한다. 지역사회의 관계당국은 지금이라도 진실의 전모를 밝히는 한편, 더는 헛소문이 나돌지 않도록 하는 현장 조치를 시급히 취해야 한다. 안보문제와 관련해 공연한 소문이 나도는 것은 사회안정과 국익을 위해 합당치 않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